오피니언

뉴스홈 > 오피니언

사설

+ 더보기

밀물썰물

+ 더보기
토양 수분과 산불

토양 수분과 산불

기온이 오르면 지표면의 수분은 대기 중으로 날아간다. 증발한 수분을 머금은 구름은 어느 순간 눈과 비를 뿌려 메마른 대지와 뭇 생명을 적신다. 자연은 그렇게 돌고 돈다. 이런 섭리는 영원히 깨지지 않을 줄 알았다. 하지만 인간의 욕망이 초래한 지구온난화라는 대재앙은 자연의 경이로운 순환 체계도 망가뜨린 것으로 나타났다.서기원 서울대 교수와 류동열 호주 멜버른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5년간 이어진 온난화로 지구 토양 수분이 급감했으며,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지표면 수분함량이 다시 회복될 수 없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2002년 지구 전체 토양에서 1614Gt의 물이 빠져나갔다고 지적했다. 이는 2002∼2006년 그린란드 빙하 손실량인 900Gt보다 1.8배 많다. 2002~2016년엔 1009Gt의 물이 유출됐고, 2021년까지도 토양 수분함량은 회복되지 못했다고 한다. 요지는 지표면에서 대기 중으로 증발한 수증기량이 급증, 강수량이 늘어도 토양 수분 증가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것이다.자연의 섭리를 깬 직접적 원인은 무엇일까. 연구팀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를 지목했다. 온난화로 대기와 해양의 온도가 상승하고 강수량과 증발 수증기 총량마저 변화시켜 토양 수분을 감소시켰다는 설명이다. 결국 땅속이 건조해졌다는 의미다.인간이 토양 수분 감소를 자세하게 감지할 순 없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은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토양이 건조해지면 나무와 낙엽의 수분 함량이 크게 줄고 대기 중 습도도 낮아져 산불이 확산하기 쉬운 조건을 만든다. 급변한 토양 수분 환경 때문에 미국 등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은 엄청난 피해를 초래했다. 최근 국내에서도 영남권 ‘괴물 산불’ 때문에 31명이 숨지고 피해 면적도 4만 8000여ha에 달한다. 이번 산불은 동시다발적이면서도 초대형이었다는 점에서 이전 산불과 확연히 달랐다.이번 산불 원인이 입산자 등의 실화라는 점과 당국의 허술한 대처가 피해를 키운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진짜 원인은 지구온난화 심각성을 제대로 깨닫지 못한 우리의 안일함일 것이다. 토양이 건조해지면서 이런 재난 상황은 예견됐기 때문이다. 어쩌면 온난화에 따른 부작용은 이제 겨우 시작된 것인지도 모른다.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을 위한 한층 적극적 노력이 없다면 초대형 산불, 가뭄 등은 일상화될 것이다. 더 늦기 전에 망가진 자연의 순환 체계를 되살려야 한다.

부산일보 논설위원

오늘의 칼럼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