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일기] 고베항·미나토미라이엔 있고 북항엔 없는 세 가지
이상배 해양수산부 기자
지난 6월 일본 고베항을 방문했다. 일본 대표 무역항인 고베항은 1995년 한신 대지진 이후 대대적인 재개발 사업에 들어갔다. 고베항 일부는 ‘메리켄 파크’라는 이름의 친수공원으로 탈바꿈했다. 그런데 이곳 랜드마크인 고베타워나 고베해양박물관을 뒤로 하고, 정작 눈에 띈 건물은 따로 있었다. 바로 스타벅스다. 공원 한가운데 명당을 차지한 글로벌 커피 체인점은 더위에 쫓긴 관광객으로 가득했다. 같은 시기 찾았던 요코하마도 관광객 편의를 극대화한 상업 시설이 돋보였다.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에는 무역 화물 창고로 쓰였던 ‘아카렌가’가 있다. 붉은 벽돌로 된 옛 외관을 유지한 덕에 요코하마항의 역사성과 정체성이 잘 드러난다. 하지만 안으로 들어가자 1층부터 3층까지 레스토랑과 기념품 가게, 스튜디오 등 집객 시설로 가득했다. 항만이라는 정체성을 지킨 동시에 관광지로서 본질을 잊지 않은 것이다.
〈부산일보〉 취재진은 올해 국립부경대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과 공동취재단을 구성해 일본과 대만, 싱가포르를 잇달아 방문했다. 국내 첫 항만 재개발 사업인 부산항 북항이 엑스포 유치 불발 이후 좀처럼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선진 항만 재개발지를 방문하고 북항에 적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였다.
사전 조사 때만 해도 각 지역의 ‘랜드마크’에 집중했다. 고베항의 고베타워, 대만 가오슝항의 수평 회전 다리, 싱가포르의 머라이언 동상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더 크게 체감한 부분은 따로 있었다. 성공한 항만 재개발지 모두 놀거리, 먹거리, 볼거리라는 세 가지 요소에 충실했다. 어느 항만 재개발지이든 관광객들은 저마다 아이스크림이나 간식을 손에 들고 바다 앞에서 기념 사진을 찍느라 여념이 없었다. 대관람차, 크루즈를 즐기려는 이들로 티켓 판매처 앞은 늘 혼잡했다.
반면 오는 11월이면 개장 1주년을 맞는 북항 친수공원은 어떤가. 올 3월 북항 친수공원에 방문했을 때 ‘휑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다. 출출한 배를 달랠 곳도, 재미난 경험도 찾지 못한 탓이다. 부산항축제나 스탠드업 패들보드(SUP) 대회 등 단기 축제는 흥행했지만 상시 콘텐츠는 사실상 전무하다. 부산항축제 때 큰 호응을 얻었던 보트 체험이나 푸드 트럭 등 놀거리, 먹거리, 볼거리를 갖춰야 한다. 여기에 북항만의 역사와 정체성을 입히는 것도 중요하다.
역사성과 상업성을 균형 있게 조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본과 대만, 싱가포르는 민관 협력 형태의 콘텐츠 전담 기구에서 답을 찾았다. 규모가 큰 인프라 구축은 공공이 주도하는 게 맞지만, 한정된 예산 내에서 창의적인 콘텐츠를 기획하고 운영하려면 민간의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현지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부산항만공사는 내년 4월까지 북항 재개발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용역을 진행한다. 해양수산부와 부산시도 착수 단계부터 머리를 맞댄다. 이 자리에서 북항 친수공원에 매력적인 콘텐츠를 채울 수 있는 민관 협력 기구의 형태를 구체화해야 한다. 일본 고베시는 시와 상공회의소, 그리고 지역 7개 민간 기업이 공동 출자하는 ‘제3부문’ 방식을 활용했다. 지자체가 가진 재정적 한계 안에서 민간의 창의성을 펼칠 수 있는 좋은 모델로 판단된다. 일본은 우리와 행정 체계가 유사한 만큼 적용도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공공과 민간,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해야만 북항을 ‘글로벌 핫플레이스’로 도약시킬 수 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