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자의 눈] 대형 산불, 기민한 대응 전략 마련을
최근 겪은 대형 산불로 모두가 애를 태웠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과 영덕으로 번져가는 데는 한나절 밖에 걸리지 않았다. 건조한 공기와 강한 바람이 화재를 더욱 부채질했다. 30명이 사망하고 불탄 면적이 4만ha(여의도 면적의 156배)에 이르며 국립공원과 국가문화유산까지 화마로 큰 피해를 입었다.
우선 우리의 조그만 부주의와 실수가 엄청난 인명과 재산 상의 손실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모두가 극도로 조심하고 주의해야 한다. 산불의 원인을 보면 입산자 실화가 31%, 논밭두렁이나 쓰레기 소각 24%, 담뱃불 실화 7%, 성묘객 실화 3% 등으로 65%가 사람의 부주의에서 비롯됐다.
또 진화 인력의 고령화와 장비 부족 및 노후화는 빨리 개선돼야 한다.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상당수가 30년 이상 운행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고성능의 대형 헬기 도입, 고장시 즉시 수리 및 정비, 산불 특수진화차 도입 등이 필요하다. 예산을 늘려 장비를 현대화하고 진화 인력을 젊은 세대로 교체하는 것도 시급하다.
이 참에 어린이들에 대한 산불 예방교육도 해야 한다. 어릴 때부터 순간적인 잘못과 실수가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하고, 이를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 언론의 상시적인 캠페인도 적잖은 효과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끝으로 방화범에 대한 처벌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 현재는 산림 및 그 인접지역에서 화재 발생 시 적발되면 1차 위반 30만 원, 2차 40만 원, 3차 이상 50만 원에 징역 3년 이하, 벌금 3000만 원 등으로 실제 피해에 비해 약한 편이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산불은 갈수록 빈번해지고 대형화할 것이 자명하다. 산불 예방과 대응 전략의 선진화를 기해야 한다. 박옥희·부산 북구 화명3동
2025-04-06 [14:02]
-
[독자의 눈] 픽시 자전거, 위험성 교육해야
최근 길거리에서 중학생으로 보이는 학생이 탄 픽시 자전거에 부딪힐 뻔한 일이 있었다. 일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학생들에게서도 아찔한 장면을 쉽게 목격할 수 있는데 픽스 자전거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픽시 자전거는 브레이크가 없는 고정 기어 자전거로, 페달을 돌려 속도를 조절하고 멈추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일반적인 자전거와 조작법이 다르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타면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초보자나 경험이 부족한 청소년의 경우, 픽시 자전거를 안전하게 다루기가 어렵다. 차량도 보행자도 많은 도심의 도로 위에서는 자전거를 타면서 갑작스러운 정지나 방향 전환이 힘들어 사고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다.
더구나 청소년들은 위험한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성인보다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픽시 자전거를 타는 청소년이 있다면 부모나 보호자의 관리와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정에서의 안전 교육은 청소년이 픽시 자전거를 자유롭게 운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순히 튼튼하고 좋은 자전거를 사주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전거의 특성과 조작 방법,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특히 그 자전거가 브레이크가 없는 픽시 자전거라면 부모부터 자전거를 구입할 때 전체적인 작동 구조와 방식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녀에게 브레이크 없이 멈추는 방법과 급정거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찬찬히 교육해야 한다.
더불어, 반드시 헬멧과 보호 장비를 착용하게 하고,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나 보행자가 많은 곳에서는 과할 정도로 조심시키거나 타지 않도록 권유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도로 교통법을 숙지하고 안전 수칙을 지킬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박기훈·부산 동래구 낙민로
2025-04-01 [10:17]
-
[독자의 눈] 4월 2일은 교육감 재선거일, 잊지 마세요.
다가오는 4월 2일은 재보궐선거 날이다. 부산시교육감을 비롯해 5개 지역 지방자치단체장(구로구, 아산시, 담양군, 김천시, 거제시), 8개 지역 시·도의원(달서구, 강화군, 유성구, 성남시, 군포시, 당진시, 성주군, 창원시), 9개 지역 구·시·군의원(중랑구, 마포구, 동작구, 강화군, 광양시, 담양군, 고흥군, 고령군, 양산시) 등 전국적으로 총 23곳의 재선거 및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이 중 부산시교육감 재선거가 가장 규모가 크다.
전국적으로 동시에 실시되는 임기만료 공직선거는 대체로 투표율이 높지만, 재보궐선거는 그렇지 않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가장 최근의 교육감 보궐선거로 2024년 10월 16일에 치러진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당시에는 투표율이 23.5%였고, 2023년 4월 5일 실시된 울산시교육감 보궐선거의 경우 26.5%에 그쳤다.
이는 재보궐선거일이 공휴일이 아닌 영향도 있다. 하지만 재보궐선거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총 14시간 동안 투표를 할 수 있어 오후 6시에 종료되는 공직선거 선거일 투표보다 길다. 또 공직선거법에 따라 고용주는 근로자가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어기면 최고 10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더불어 이번 재보궐선거의 사전투표는 3월 28~29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므로 투표 시간은 선택적으로 열려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과 지역 발전을 위해 유권자들이 오는 4월 2일을 꼭 기억해 소중한 주권을 행사하시길 바란다.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계장 김희승
2025-03-30 [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