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특구 면적 2배 확대… 부산, 1600만 평으로 지정 신청
산업부, 지정 운영 등 관한 지침
공급 자원 유치 특화지역 면적
기존 1000만 →2000만 평으로
부산형 분산특구도 1.6배 증대
시 “인근 산단과 연계 모델 추진”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예정
정부가 올해 2분기에 지정을 완료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에너지특구)을 당초 계획보다 배로 확대한 2000만 평(6600만㎡)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추진하는 ‘부산형 분산특구’ 면적도 1600만여 평으로 예정보다 1.6배 확대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8일 오후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 경제부총리에게 보고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분산에너지특구(일명 분산특구)는 신청을 거쳐 올 2분기(4~6월) 중 지정을 완료한다고 밝혔다.
구체적 일정과 관련, 산업부 관계자는 〈부산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달 말까지 최종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2월 설명회 등 지자체와 공유 절차를 거쳐 3월 이후 공모를 하고 6월까지 지정을 완료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6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지정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제정안 행정예고를 통해 시·도지사가 지정 신청할 수 있는 특화지역의 총 면적(특화지역 면적 상한)을 전력수요 유치형 특화지역 및 공급 자원 유치형 특화지역의 경우 각각 2000만 평(6600만㎡), 신산업 활성화형 특화지역의 경우 ‘면적 상한 없음’으로 확정했다.
전력수요 유치형 특화지역 및 공급 자원 유치형 특화지역은 면적 상한을 당초 제시한 ‘1000만 평(3300만㎡)’에서 배로 확대하고, 신산업 활성화 특화지역은 면적 상한을 아예 없애버린 것이다.
분산특구 사업은 3개 유형으로 나눠 진행된다. 분산특구 사업에 뛰어든 주요 지자체 중 공급자원 유치형 특화지역은 부산, 전력수요 유치형 특화지역은 울산, 신산업 활성화 특화지역은 제주가 해당된다. 공급자원 유치형 특화지역은 전력수요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추가 발전설비 유치 등을 통해 특화지역 계획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을 말한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오는 3월께 공급 자원 유치형 특화지역 모델로 산업부에 최종 제출할 ‘부산형 분산특구’ 면적은 초안에서의 1048만 평(3460만㎡)보다 약 1.6배 확대된 1579만 평(5220만㎡)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면적이 확대되는 부산형 분산특구는 ‘에코델타시티 및 강서산단 특화지역(가칭)’이다. 구체적으로는 에코델타시티·명지지구택지 개발지 일대 및 강서산단을 아우른다.
강서구 구랑동, 녹산동, 명지동, 송정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생곡동, 대저동, 강동동, 화전동, 신호동(12개 법정동) 일원이다. 특화지역 면적이 확대되면서 부산형 분산특구는 당초 강서구 7개 동(에코델타시티 인근 강동·명지·대저2동, 강서 산단 주변 구랑·송정·미음·생곡동)에서 5개 동(녹산·화전·신호·지사·범방동 등)이 추가됐다. 면적이 추가된 지역은 르노코리아 자동차 부산공장이 입주해 있는 신호일반산단을 비롯해 화전일반산단, 지사과학일반산단 및 지사일반산단, 녹산산단 등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는 부산형 분산특구를 통해 에코델타시티 내 분산에너지(수소연료전지, 수소혼소LNG)와 인근 산업단지(태양광)와 연계한 수요지 인근 공급 자원 유치형 모델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데이터센터 및 입주 기업 등에 전력·열원 공급(직접 거래 허용)을 하는 한편,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기반 분산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확대하고, 가상발전소(VPP),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신기술 실증 및 규제 특례를 발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지침에는 특화지역 지정 면적 확대와 더불어 특화지역 지정 절차 항목에 ‘특화지역 설비 영향 점검’이 새로 추가됐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