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입찰 지역업체 들러리?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지 공사 2차 입찰 24일 마감
현대건설 컨소시엄 단독 응찰
14개 지역업체 지분 겨우 11%
정보통신 등 비토목은 참여 ‘0’
수도권 업체 싹쓸이 가능성도

가덕신공항 완공 예상도.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제공 가덕신공항 완공 예상도.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제공

공사비만 10조 5000억여 원으로 부산 역대 최대 규모인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에 정작 지역 건설업체들은 들러리만 서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지역 업체들에 할당된 지분을 모두 합해도 10%를 간신히 넘길 정도로 적은 데다 정보통신이나 전기, 소방 등 비토목 부문에서는 지역 업체 몫으로 돌아가는 비중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25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마감된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사전심사 재입찰에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단독 응찰하면서 유찰됐다. 지난 5일 1차 입찰은 무응찰로 유찰됐고 2차 입찰에서는 1곳만 응찰하게 됐다. 이렇게 됐을 경우 국토교통부는 재입찰 공고를 내거나 수의계약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번 현대건설 컨소시엄에는 동원개발, 동아지질, 흥우건설, 삼미건설, 협성종합건업, 지원건설(이상 지분율 1%)과 경동건설, 대성문건설, 영동, 동성산업(이상 0.5%) 등 10곳의 부산 업체가 참여한다. 경남 업체는 대저건설과 대아건설(이상 1%), 정우개발과 대창건설(이상 0.5%) 등 4곳이 이름을 올렸다. 지분율 1%는 1000억 원, 0.5%는 500억 원가량 사업비가 책정된다.

14곳의 지역 업체 지분을 모두 합하면 11%가 된다. 지역 건설업계는 지분율이 예상했던 것보다 너무 낮다고 입을 모은다. 국토부는 지역 업체 지분율에 따라 입찰 가산점을 주는데 1~5%는 2점, 5~10%는 4점, 10~20%는 6점, 20% 이상은 8점이다. 가산점 6점을 받기 위해 턱걸이로 지분율 10%를 넘긴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드는 지점이다.

부산의 한 건설사 임원은 “지역 업체들의 지분율이 최소 20%는 돼야 지역 경제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했다. 대기업들이 지역 업체들에 믿음을 주지 않는 것 같다”며 “일부 지역 중견사들은 이번 공사를 계기로 대기업으로 발돋움할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으나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현대건설 컨소시엄에서 정보통신, 전기, 소방, 산업·환경설비 등 비토목 부문에는 지역 건설업체 지분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토목 부문을 다 합쳐도 전체 공사 금액의 4.8%에 불과하지만, 총 규모가 10조 5000억 원인 만큼 여기에 할당된 공사비는 5000억 원이 넘는다.

부산의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요즘 같은 불경기에는 수십억 원짜리 설비 공사를 찾기도 어렵다. 지금처럼 대기업이 도맡는 구조라면 이들 밑에 딸린 수도권 전문건설업체들이 비토목 공사를 싹쓸이하게 될 것”이라며 “가덕신공항처럼 고도의 기술력이 동원되는 공사를 지역 업체들이 수행해야 업체 전반의 수준이 높아지고 장기적으로는 후학도 양성할 수 있다. 기술과 인력을 역외로 유출하는 구조를 만들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부산의 건설업체 고위 임원은 “국토부가 수의계약으로 전환하지 않고 재공모를 내서 컨소시엄 구성을 다시 한다면 지역 업체 비중을 늘릴 수 있다”며 “실제 공사 과정에서 지역의 자재나 장비, 인력 등이 많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정부와 부산시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