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한동훈 “총선서 진 ‘부산 빚’ 갚겠다”…제3자 특검 대해선 “민심에 기민해야”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울경, 개헌저지선 수성 기여에 고개 숙여
단기적·가시적 균형발전 정책 추진 의지 강조
민주당과 산은법 협상 집적 나서겠단 의사 밝혀

친윤서 맹공 받는 제3자 채 상병 특검 대해
“안보 이슈서 밀려선 안된다”며 의지 재확인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28일 오후 부산 동구 라마다앙코르 부산역호텔에서 <부산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28일 오후 부산 동구 라마다앙코르 부산역호텔에서 <부산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당권주자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부산을 찾아 “이번 총선에서 우리가 나락에 떨어지기 직전 마지막 기회를 준 도시”라며 “대표가 되면 빚을 꼭 갚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해 “장기적 관점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최대한 단기간에 가시적으로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이날 부산 동구 한 라마다앙코르 부산역호텔에서 진행된 <부산일보>와의 단독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이끌었던 그는 4월 초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레이스 후반)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하면서 부산·울산·경남(PK) 에서 선전하지 못하면 개헌저지선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선거 막판 PK에 승부를 걸었다. 이에 시민들이 개헌저지선이 무너지면 올 수 있는 혼란을 우려 전략적으로 판단을 해줬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출마 연설문에서도 밝혔듯 국민의힘을 향한 부울경 시민들의 지지와 사랑은 당연한 것이 아니다”며 “지지해 준 데 대해서 이제는 열정으로 대답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PK에 대한 남다른 애착을 드러낸 그는 강력하고 속도감 있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으로 보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지역균형발전 정책은 장기전으로 가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며 “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동안 지역 이탈 동력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롱텀(장기적인) 정책을 이야기하기에는 상황이 녹록지 않다. 사람들이 부산을 떠나야 하는 게 현실”이라면서 “영도만 하더라도 대단히 매력적인 도시인데 인구 유출 문제는 심각하지 않나”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시민들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확고하게 실시해야 한다”며 가덕신공항 조기 착공과 22대 국회에서 재발의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을 거론하며 “단기간에 현실화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그는 22대 국회 과반 의석을 확보한 민주당을 상대로 본인이 직접 협상에 나서겠다며 강한 의지를 밝혔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서로 대척점에 있더라도 합의를 이룰 수 있는 게 정치가 아닌가”라며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우리 당에 있어 상당히 높은 우선순위의 정책이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의 핵심인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을 위해 민주당에 산업은행 이전에 상응하는 또다른 ‘카드’를 제시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PK에 대한 비전을 세세하게 밝힌 그는 자신을 둘러싼 정치 현안에 대해서도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다. 최근 당내 친윤(친윤석열)으로부터 강공을 받고 있는 ‘채 상병 특검법 조건부 찬성’ 발언에 대해 “국민의힘은 적어도 안보에서만큼은 다른 정치세력에 뒤지면 안 된다”며 “안보의 핵심 중 하나는 나라를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는 분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처우를 개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검을 하면 안 된다는 분들의 논리도 정치적·법리적으로 일리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민심에 기민하게 반응해야 한다. 무턱대고 반대만 하면 ‘진실 규명을 방해하는 세력’이라는 오명을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당내 일부 반발에도 대법원장 같은 제3자가 특별검사를 추천하는 ‘채 상병 특검법’ 수정안 발의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