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남의 영화세상] 끊어질 듯 이어지는 첫사랑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셀린 송 감독 '패스트 라이브즈'
이민으로 헤어진 남녀의 첫사랑
담백한 연출로 '애틋함' 표현해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스틸컷. CJ ENM 제공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스틸컷. CJ ENM 제공

무어라 설명할 수 없는 몽글몽글한 감정. 기억 속 어딘가 숨겨져 있다가 불쑥 나타나 아련함을 남기는 감정을 첫사랑이라 명명할 수 있지 않을까? 한 번쯤은 만나보고 싶다가도 혹여 내 기억과 다르다면 어쩔까 우려되는 마음,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지 않았을까? ‘패스트 라이브즈’는 가슴 한편에 묻어둔 첫사랑의 기억을 소환하는 영화다. 그런데 이 영화를 첫사랑 영화라고 정의 내릴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금껏 보았던 애틋하고 애잔한 사랑과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영화는 해성과 나영, 아서가 뉴욕의 한 바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세 사람의 모습을 본 누군가 그들의 관계를 유추한다. 동양인 남자와 여자는 연인인지, 친구인지, 그들의 곁에 있는 외국인 남자와는 삼각관계인지 그저 동료인지 묘한 세 사람의 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채 영화는 24년 전으로 돌아간다. 서울, 12살의 나영과 해성은 우정 이상의 감정을 쌓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나영의 가족이 캐나다로 이민을 가면서 둘은 급작스럽게 이별한다. 나영은 다가올 미래가 궁금해 첫사랑을 잊는다. 나영과 해성이 다시 만난 건 자그마치 12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후다.

뉴욕에 있는 나영과 한국에 있는 해성은 SNS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으며 이전처럼 설렘을 느낀다. 어렵게 만난 만큼 사랑은 쉽게 이어질 줄 알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다. 12년의 세월은 극복했지만, 14시간이라는 한국과 뉴욕의 시차는 극복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화상채팅으로만 마주하는 얼굴도 만족스럽지 않다. 20대의 불안정함, 미래를 약속할 수 없는 불확실함 속에서 관계를 지속하는 것은 어렵기만 하다. 두 사람은 현실적인 벽에 가로막혀 또 한 번 서로의 인생에서 멀어진다.

또다시 12년이라는 시간이 흐른다. 극작가가 된 나영은 결혼을 한 상태고, 해성은 여자 친구와 결혼을 고민하고 있다. 인생의 큰 결정을 앞둔 해성은 이제는 ‘노라’라는 이름이 더 익숙한 첫사랑 나영을 만나기 위해 뉴욕을 찾아온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24년 만에 첫사랑을 만나러 온 해성과 설렘을 안고 기다리는 나영, 아내의 첫사랑을 응원하는 나영의 남편 아서와 함께 이틀이라는 시간을 보내는 데 있다. 이때 셀린 송 감독은 그들의 관계를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는다. 12살, 24살, 36살의 짧은 시간을 함께 보낸 나영과 해성을 포착한다. 이를 통해 나영이 이민을 가지 않았다면, 24살의 그들이 실제로 만나기라도 했다면 어쩌면 첫사랑을 성공했을지 모른다는 상상을 하게 만든다. 더불어 첫사랑의 실패는 온전히 첫사랑의 시간에만 주목하게 만든다. 각자만의 시간 속에서도 첫사랑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그리고 그 첫사랑과의 마침표를 찍기 위해 긴 시간을 돌아온 것이다.

영화 제목 ‘패스트 라이브즈’(Past Lives)는 전생 또는 지나간 삶을 의미한다. 나영과 해성은 이제 붙잡을 수 없는 지나간 삶에서의 인연이 분명하다. 그런데 어찌 보면 전생이 적절해 보인다. 12살에 만난 인연이 24년이라는 시간을 건너뛰어 다시 나타난다면 전생인지 현생인지 혼란이 오지 않을까? 어떤 시간엔 분명 존재했지만, 애틋하고 절실했던 마음이 분명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잊히는 것, 잡을 수 없는 시간의 감각을 ‘전생’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패스트 라이브즈’는 기존의 첫사랑 영화와는 결이 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통속적일 수 있는 첫사랑과의 재회는 현재와 과거를 교묘히 뒤섞으며 애잔하게, 한국과 미국의 거리는 전생과 현생으로, 한국어가 낯선 여자의 영어와 영어가 낯선 남자의 대화 사이에 오는 침묵은 서로의 긴장 상태를 만든다. 첫사랑의 파동을 이토록 담백하게 그려낸 영화라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김필남

영화평론가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