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재개발에도 민관 전담 기구 도입한다 [북항을 '글로벌 핫플'로]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항미래포럼 등 꾸준히 요구해 온
콘텐츠 개발 위한 전담 기구 설립
BPA 착수 활성화 용역 안에 포함
전 단계로 시·정부 머리 맞대기로

지난해 11월 개장한 부산항 북항 재개발 1단계 구역 내 친수공원 전경. 부산일보DB 지난해 11월 개장한 부산항 북항 재개발 1단계 구역 내 친수공원 전경. 부산일보DB

속보=부산항 북항 친수공원의 상시 콘텐츠가 전무하다는 지적(부산일보 9월 11일 자 1면 등 보도)에 해양수산부가 북항 활성화 용역 때 콘텐츠 전담 기구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북항 재개발지의 청사진을 다시 그리는 이번 용역에 해수부·부산시·부산항만공사(BPA)가 착수 단계부터 머리를 맞대면서 관련 논의가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는 내년 4월까지 진행 중인 ‘북항 재개발 사업 활성화 및 투자 유치 방안 수립 용역’에서 북항 재개발지 내 콘텐츠를 전담할 민관 협력 기구 등을 함께 검토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지난 4일 BPA는 북항 마리나에서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당초 이번 용역은 북항 재개발의 핵심으로 꼽히는 랜드마크 부지를 포함해, 북항 1단계 미매각 부지에 대한 투자 유치 방안을 찾는 데 중점을 뒀다. 하지만 지역 사회에서는 국내 첫 개항지인 부산항의 역사성을 담은 상시 콘텐츠를 마련하기 위해 민간 전담 기구를 출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

해수부 관계자는 “북항 재개발 활성화 방안을 다각도로 찾기 위해 이번 용역의 범위를 넓게 잡았다. 시설과 같은 ‘하드웨어’ 측면뿐 아니라 콘텐츠나 이를 운영할 기구 등 ‘소프트웨어’도 함께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일 강도형 해수부 장관도 ‘민관 협력 콘텐츠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창의성을 요구하는 콘텐츠는 관이 아무래도 좀 약하다. BPA 등과 협의해 발전시킬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이번 용역은 착수 보고회부터 발주처인 BPA뿐 아니라 해수부와 부산시가 참여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해수부와 BPA는 지역 사회 여론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부산시에 의견이나 요구 사항을 적극 개진해 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다.

콘텐츠 전담 기구의 필요성은 민간에서도 제기된다. 학계와 문화계, 해양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지역 싱크 탱크 ‘북항미래포럼’은 “부산 최대 현안인 북항 재개발을 활성화하려면 콘텐츠를 기획·운영하는 민관 협력형 기구 출범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부산일보〉 취재진과 함께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 항만 재개발 사업지를 방문한 국립부경대 공미희 교수는 “항만 재개발을 성공한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해당 지역만의 고유한 스토리가 담긴 콘텐츠가 갖춰져 있었다. 북항도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을 위한 전담 기구 도입이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북항 1단계는 전체 매각 대상 부지 중 57%(18만㎡)가 아직 매각되지 않은 상황이다. 랜드마크 부지(11만 3286㎡)는 건설 경기 불황 등과 맞물려 사업자 선정이 두 차례 잇따라 무산됐다. 2단계 사업도 공동 시행자인 토지주택공사(LH), 코레일 등이 사업 참여를 주저하고 있어, 좀처럼 사업이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