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감 직선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 필요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 단체장이 참여하는 시·도지사협의회가 6일 정기회의를 갖고 '선진 지방분권국가 실현을 위한 시·도지사 공동 성명서'를 채택했다. 교육감 선출방식 개선을 비롯해 지방교부세율 인상 및 국세와 지방세 조정, 광역 중심의 자치경찰제 도입 등을 요구하며 정부와 정치권이 협력해 관심을 갖고 추진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중에서도 정파가 다른 시·도지사들이 한목소리로 현행 교육감 직선제 폐지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주목된다.

교육감 직선제는 그동안 그 장·단점에 대해 의견이 엇갈려 온 문제다. 교육 수요자인 학부모들이 교육 책임자를 직접 뽑자는 취지는 나쁘지 않다. 선거 끝난 지 100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교육계에 새 바람을 불러 일으키면서 고질적인 인사 비리 등을 없애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더구나 올해는 전국 시·도교육감 전체가 처음으로 민선으로 뽑혀 사실상 지방교육 자치의 원년이라고 할 수 있어 단체장들의 그 같은 주장은 성급한 구석이 없지 않다. 그런데도 왜 그런 주장이 나오는지 함께 헤아려 보아야 한다. 후보 난립으로 유권자 입장에선 후보를 분간하기도 어려웠고, 게다가 투표용지의 기표 순서를 추첨으로 정하다 보니 "번호만 잘 뽑아도 절반은 당선된 셈"이라는 말도 나왔다. 교육감에 따라 정책이 바뀌는 정책의 일관성 문제도 생겨나고 있다.

교육감 선거를 제도적으로 개선할 점은 없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시·도 지사들이 대안으로 제시한 지방교육청을 지방정부에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은 문제점이 한둘이 아니다. 당장 헌법에 보장된 교육의 자주성과 정치적 중립에 위배된다. 교육감마저 정치 색깔을 가진다면 교육 현장은 더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그런 주장을 하려면 시·도 지사들이 자신들의 정치중립을 제도적으로 확보한 뒤 해야 옳다. 교육감 선출 문제는 여러 교육 단위들의 의견을 먼저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