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 검진 예산 없어 '찔끔 검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과거 석면 공장 주변에 살았던 사람들한테서 폐암, 악성중피종 등 이상 증세가 계속 확인되고 있지만 관련 예산이 적어 검사가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석면 피해는 잠복기가 긴 만큼 잠재적 위험군에 대한 검사는 필수적이다.

부산대 석면중피종환경보건센터(센터장 이수일)는 지난 2009년부터 과거 석면 공장 주변에 살았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석면 검사를 실시해 오고 있다. 매년 200명 정도가 검사를 받고 있다.


부산 3년째 5천만 원 '제자리'
"오는 사람만…" 수동적 조사

공장 주변 학생·교직원 등
잠재적 위험군까지 확대해야


하지만 관련 예산이 부족해 검사가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시는 매년 5천만 원을 센터에 지원해 검사를 진행토록 하는데, 예산이 부족해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예산은 3년째 그대로다.

센터 황용식 사무국장은 "악성중피종은 아주 작을 때는 조직을 떼내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검사를 통해 의심환자를 찾아내는 작업이 아주 중요한데 현재는 오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보도 잘 안 돼 이런 검사가 이뤄진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에 센터는 올해 처음으로 주민설명회를 열 계획이지만 이 것도 한계가 있다.

2년 동안 센터는 석면 영향에 따른 이상이 의심되는 건강 이상자 39명을 찾았고, 그 중 11명에 대해 정밀 검사를 진행했다. 그만큼 석면 검사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첫해에는 34년 동안 석면 공장 주변에서 살았던 사람한테서 폐암 증세가 확인됐다. 또 지난해에는 비슷한 환경에 노출됐던 사람이 석면폐증이 의심되는 증세를 보였다.

한국환경공단에서 진행하는 석면 환경성 인정도 3월 말 현재 125명(본인 95명, 유족 30명)이 피해 인정을 받았다. 부산에서는 6명(본인 3명, 유족 3명)이 해당됐다.

석면 공장에서 일하지 않고 주변에 사는 것만으로도 폐암, 악성중피종 등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동적인 검사 대신 석면 피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찾아나서는 것이 시급하다. 석면 공장이 가동됐던 기간 동안 주변 학교를 다녔던 학생이나 교직원 등 잠재적 위험군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부산시 환경보전과 관계자는 "환경부 기금이 부족해 석면 피해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부분은 있다"며 "부족하나마 시비를 배정하는 곳은 전국적으로 드물며 앞으로도 계속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센터는 올해도 과거 석면 공장이 있었던 동네에서 살았던 주민들을 대상으로 무료 석면 검사를 진행한다. 검진은 기초 진료, 가슴 엑스레이 촬영, 설문 조사, 혈액 검사 등으로 진행된다.

해당 지역은 연산1동, 구평동, 장림2동, 덕포2동. 공장 반경 2㎞ 내 지역이 고위험 노출권이라는 점을 감안해 연산8동, 연산9동, 장림1동, 덕포1동, 다대동도 포함됐다.

연산1동에는 제일화학(1969~1992년), 구평동에는 국제패킹(2000~2008년), 장림2동에는 한일화학(1970~1992년), 덕포2동에는 동양S&G(1974~2008년)가 있었다. 051-510-8078.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