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영화인 10년 염원, 우여곡절 끝 '대역사' 결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화의전당 시네마운틴 내 다목적공연장인 하늘연극장 내부 모습이 공개됐다. 무대장치 규모가 국내 3번째로 평가받고 있다. 김경현 기자 view@

영화의전당 건립은 무에서 유를 창조한 '대역사'였다. 수많은 논란과 난관을 뚫고 지금 수영강변에 위용을 드러냈다. 부산시민과 영화인의 열망, 공무원과 기술자들의 땀이 버무려낸 작품이다.

■ 10년 염원, 꿈이 현실로=출발은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1년 11월 영화인들과 언론이 본격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2002년 대선 때 대선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급물살을 탔다. 2003년 8월 부산시는 부산국제영상센터 건립 방침을 밝히고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나섰다.

전용관의 위치를 놓고 논란도 있었다. 해운대 극동호텔 부지와 수영만 요트경기장이 거론됐으나 2004년 부산시는 센텀시티로 결정했다.

2005년 11월 국제초대공모전을 통해 오스트리아의 쿱 힘멜브라우사의 설계안이 당선작으로 결정됐고 우여곡절 끝에 2008년 10월 공사에 들어가 3년만에 완공하게 됐다.

3년의 공사기간은 건축 규모와 작품의 수준·난이도에 비해 짧은 편이지만 부산시민들의 꿈이 이뤄지기까지는 10년이 걸린 셈이다. 물론 부산국제영화제는 출범 16년만에 전용관에 대한 염원을 풀게 됐다.



'예산과의 전쟁'· 공기 단축 등 온갖 시련 극복
3년 짧은 공사 기간 세계적 건축물 신화 달성


■ 예산을 따내라=영화의전당 건립 과정은 '예산과의 전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3년 9월 노무현 대통령은 부산을 방문, 안상영 당시 부산시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2004년 예산에 용역비 10억과 설계비 30억원을 반영토록 지시했다. 당시 건축비는 460억원(국비 230억원·시비 230억원)이었다. 몇년 후 시의 사업비 증액을 요청받은 정부는 2008년 9월 총사업비를 691억원으로 증액했다.

그러나 쿱 힘멜브라우사 설계작품의 건축비는 1천624억원이었다. 문화부와 기획예산처 모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때 허남식 부산시장이 '사고'를 쳤다. 2008년 10월 국제공모전 당선작의 건축비 그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예산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공식이 열렸다.

그 이후 정부는 예산 미배정 내지 삭감 조치로 대응했다. 이를 뚫고 당초 예산의 두 배가 넘는 예산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부산은 눈물겨운 노력을 쏟아부었다.

최종적으로 투입된 사업비는 1천678억5천만원(국비 600억원·시비 1천78억5천만원). 단일 건축물의 건축비로는 엄청난 금액이지만 부산은 과감한 결단과 노력으로 그 이상의 값어치를 할 세계적인 작품을 품에 안게 됐다.

■ 공기를 맞춰라=개관을 눈앞에 두고 허남식 부산시장은 거의 매일 공사현장을 찾아 막바지 작업을 독려하고 있다. 사실 최근 6개월의 공사는 공기를 맞추기 위한 피말리는 싸움이었다.

문제는 3년 전 공사에 들어가면서 올해 BIFF 개막식을 영화의전당에서 하겠다고 선언한 순간부터 발생했다. 공사과정의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개관 날짜부터 잡은 셈이다. 국내에서는 한번도 해보지 않은 공사라는 점이 간과됐다. 여기에 예산문제와 하도급문제까지 발생하며 공사의 진척속도는 갈수록 늦어졌다.

예술작품을 건축물로 구현하다보니 난공사 중의 난공사였다. 더블콘(빅루프를 받치는 나선형 지지대)의 철골 골조는 아예 완제품이 없어 직접 철판을 절단하고 용접해서 만들었다. 곡선이 유난히 많다보니 철판작업과 유리공사도 애를 먹었다. 스몰루프 바닥 계단공사는 0.5㎝ 오차 때문에 모두 뜯어내고 재시공을 했다. 오스트리아의 설계자는 미세한 변경도 일일이 허락을 받도록 요구했다. 쉽지 않은 조율이었다.

지붕의 고공작업 때는 인부들을 구하느라 애를 먹었다. 지상에서 20~30미터 높이의 '스카이카' 장비를 타고 고개를 젖힌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것은 위험하기도 하고 힘도 드는 작업이었다. 인건비를 높여도 인부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조승호 부산시 건설본부장은 "특히 마지막 3개월은 피를 말리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작업 인부들과 공무원들은 주말을 반납해야 했고, 야간작업도 연일 이어졌다. 추석도 없었다. 추석 당일에는 일하려는 인부들이 없어 하루 인건비가 평일의 4배까지 뛰었다.

결국 부산시와 시공사인 한진중공업은 29일 개관식에 문제가 없을 만큼 공기를 맞춰냈다. 설계자도 혀를 내두른 또 하나의 대한민국 건축 신화가 탄생하는 것이다.

손영신 기자 zer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