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금융중심지 부산' 살리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금융중심지 지정 3주년 평가와 성공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지난 1월27일 부산 코모도호텔에서 열렸다. 부산일보DB

부산지역 경제시민단체들이 '금융중심지 부산'을 정착시키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다.

부산금융도시시민연대와 부산금융중심지 정책연구소 등 부산지역 경제시민사회단체들은 17일 각 정당 부산시당에 건의문을 보내 19대 국회 정무위에 부산지역 국회의원 2명 이상을 배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무위는 부산의 신성장 사업이자 주요 현안 중 하나인 부산의 금융중심지화 추진 등 금융 현안을 다루는 상임위다.

금융도시시민연대 등 정당에 건의문
19대 정무위 지역 의원 2명 이상 배정
총선공약 이행·정부 정책 지원 등 요청


지난 18대 전반기의 경우 허태열, 조경태, 이진복 의원 등 3명이 정무위원으로 활동했고, 18대 후반기의 경우 허태열, 이진복 의원 등 2명이 정무위원으로 있으면서 부산의 금융중심지화에 큰 역할을 해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또 각 정당의 부산 금융중심지 관련 19대 총선 공약이 지켜질 수 있도록 각 정당에 촉구하는 한편 향후 19대 의정 활동에 대해 지속적인 감시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특히 부산의 금융중심지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시민사회단체들은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권 및 부산시 등과 보조를 맞춰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내는데 전력을 다하기로 했다.

시민단체들은 지난 4월 총선에 앞서 각 정당 부산시당에 부산 금융중심지 관련 19대 총선 공약 채택여부에 대해 질의, 각 정당이 이를 총선공약으로 채택하도록 만들었다.

시민단체들은 부산 금융중심지 정착을 위한 19대 국회 입법사항으로 문현금융단지 입주 국내외 금융회사에 대한 조세지원 시한연장을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선박금융공사설립법 및 선박금융기관에 대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등을 꼽았다.

또 정부 정책을 이끌어내야 할 사안으로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수협 등 공공금융기관의 서울소재 선박금융기능의 부산이전 △한국거래소의 파생상품 접속장비(라우터) 부산 설치의 실효적 효과 보증 △한국거래의 자회사인 코스콤 기능의 부산 확대 설치로 서울의 증권·선물회사 부산이전 유도, 서울소재 해운회사의 부산 이전 시 정부 인센티브 제공 △탄소배출권 거래소 부산 설치 등을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특히 동남권 광역금융벨트 설치를 위한 정부정책 지원을 이끌어 내는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부울경 금융 연계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지역자금중개 및 자금운영기능 강화를 위한 제도 마련, 동남권 금융중추기능 강화를 위한 지역금융기관의 연계체계 확충 및 시장확대를 위한 지원체제 확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설정했다.

부산금융중심지 정책연구소 조성렬 소장은 "부산이 명실상부한 금융중심지로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정치권, 부산시 등과 서로 협력해 정부의 정책 및 예산 지원을 이끌어 내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19대 국회 개원을 맞이해 각 정당의 부산 금융중심지 관련 총선 공약이 반드시 지켜질 수 있도록 시민단체들이 지속적인 감시활동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세헌 기자 corni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