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어민교사 줄이면 사교육에 의존해야 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년부터 부산의 일선 학교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부산시가 시 교육청에 지원하던 예산을 올해와 내년 25억 원씩 각각 줄이고, 2015년에는 관련예산을 전액 삭감해 타 기관 인건비성 예산을 줄이겠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번 결정은 정부가 수능을 국가영어능력시험(NEAT)으로 바꿀지 여부를 올해 말 결정키로 예고한 상황에서 그 파장이 예사롭지 않다. 시 교육청은 일단 올해는 기존 채용계획을 그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25억 원의 전입금이 추가 삭감되는 내년에는 원어민 보조교사 수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는 딱한 처지에 놓였다.

쓰기와 말하기까지 평가하는 NEAT는 그 자체로 논란이 많다. 하지만 정부가 추진 의사를 강하게 밝힌 만큼,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험이다. 그렇기는 해도 시행 첫해인 올해 우리나라 일선 학교에서 말하기와 쓰기가 가능하거나 직접 지도가 가능한 영어교사들이 몇이나 될까 궁금하다. 사교육시장이 요동칠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저소득층 자녀들은 또다시 이런 흐름에서 소외되기 마련이다. 부산시가 이런 현실들을 잘 살피고 내린 결정인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원어민 교사를 대폭 줄이겠다는 것은 학부모 입장에서는 답답하기만 할 뿐이다.

부산시는 갑작스러운 이번 방침을 철회해야 할 것이다. 시 교육청과도 충분한 협의를 거치는 게 옳았다. 시의 불요불급한 낭비성 예산을 줄여서라도 어려운 형편의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공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시 의회 역시 여러 가지 사정을 참작해서 예산 삭감에 보다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교육청도 자체적으로 이벤트성 예산이 없는지 살펴 원어민 교사 확보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부산시와 시 교육청이 사업 우선순위를 조정한다면 해결 못할 현안이 아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