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한 '부산살이' 삶 놓으려는 이들 보듬어야
지난 6월 부산 시내 한 건물에서 50대 남자가 떨어져 숨졌다. 가장이었던 그는 10년 전 회사를 그만둔 뒤 부동산업, 식당, 모텔 관리업 등을 전전했다. 하지만 벌이는 시원찮았다. 아들 두 명의 대학등록금을 대기에도 턱없이 부족했다. 경찰은 그가 처지를 비관해 스스로 건물에서 뛰어내려 목숨을 끊은 것으로 결론지었다.
△자살률 1위 부산=부산의 자살이 심각하다. 특별·광역시 중에서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45~59세 중년 남성이 전체의 2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지난해 자살률 32.9 전국 대도시 중 1위
자살자 수 1천163명 10년 새 2.4배 늘어
부산시의회 전일수 의원(보사환경위)이 국가통계포털(KOSIS)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산의 자살자는 1천163명이었다. 전체 사망자의 5.9%를 차지했다.
부산의 자살률은 전국 7대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다. 자살률이 32.9였다. 전국 평균 31.2를 웃돌았다. 자살자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감안할 때 실제 자살 사망자는 더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산백병원의 임상시험 결과, 자살 시도자는 자살 사망자의 11.25배나 된다. 이에 근거하면 부산 지역의 자살 시도자는 1만3천83명(1천163명x11.25)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자살률 증가폭도 눈에 띄게 높다. 지난 2000년 481명이던 자살자 수와 비교하면 10년 새 241%가 증가한 것이다. 부산에서는 지난 2001년 자살자 수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역전했고, 그 차이는 벌어지는 추세다.
또 주목할 만한 것은 자살자 중에서 45~59세 사이 남성 비율이 24%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집과 직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할 사람들이 세상을 등지는 게 부산의 현실인 것이다. 노인 자살률도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