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한 '부산살이' 삶 놓으려는 이들 보듬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 6월 부산 시내 한 건물에서 50대 남자가 떨어져 숨졌다. 가장이었던 그는 10년 전 회사를 그만둔 뒤 부동산업, 식당, 모텔 관리업 등을 전전했다. 하지만 벌이는 시원찮았다. 아들 두 명의 대학등록금을 대기에도 턱없이 부족했다. 경찰은 그가 처지를 비관해 스스로 건물에서 뛰어내려 목숨을 끊은 것으로 결론지었다.

△자살률 1위 부산=부산의 자살이 심각하다. 특별·광역시 중에서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45~59세 중년 남성이 전체의 2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지난해 자살률 32.9 전국 대도시 중 1위

자살자 수 1천163명 10년 새 2.4배 늘어


부산시의회 전일수 의원(보사환경위)이 국가통계포털(KOSIS)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산의 자살자는 1천163명이었다. 전체 사망자의 5.9%를 차지했다.

부산의 자살률은 전국 7대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다. 자살률이 32.9였다. 전국 평균 31.2를 웃돌았다. 자살자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감안할 때 실제 자살 사망자는 더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산백병원의 임상시험 결과, 자살 시도자는 자살 사망자의 11.25배나 된다. 이에 근거하면 부산 지역의 자살 시도자는 1만3천83명(1천163명x11.25)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자살률 증가폭도 눈에 띄게 높다. 지난 2000년 481명이던 자살자 수와 비교하면 10년 새 241%가 증가한 것이다. 부산에서는 지난 2001년 자살자 수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역전했고, 그 차이는 벌어지는 추세다.

또 주목할 만한 것은 자살자 중에서 45~59세 사이 남성 비율이 24%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집과 직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할 사람들이 세상을 등지는 게 부산의 현실인 것이다. 노인 자살률도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자살, 체계적 관리 시급=자살은 무한경쟁, 경제적인 어려움, 사회적 양극화 등 여러 원인에서 비롯된다. 전문가들은 자살을 사회문제로 봐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시는 지난 6월 부산시정신보건센터 안에 자살예방센터를 열었다.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고위험군 관리, 전화 체크, 자살 시도자 정신과 치료 연계 같은 사업을 펼치고 있다. 또 기초지자체 8곳에 정신보건센터가 있다.

전 의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자살시도자가 다시 자살로 사망할 위험은 그렇지 않은 경우의 10배나 된다. 또 자살시도자가 10년 이내에 다시 자살을 시도할 확률은 최대 37%에 달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전 의원은 자살예방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자살예방센터의 예산을 늘리고, 자살시도자에 대한 응급 처지 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급실 진료 후 자살예방센터 연계 등 후속 조치도 필요하다.

이에 대해 부산시 김종윤 건강증진과장은 "자살은 경제, 실직, 교육 등 종합적인 차원에서 봐야 한다"며 "부산시에서도 경찰, 소방서, 의료기관, 복지관, 정신보건센터 등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