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사장, 부산저축은행 비대위 설득나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늘 농성현장 방문

이승우 예금보험공사 사장이 지난달 9일부터 부산저축은행 초량동 본점을 점거하고 있는 '부산저축 비대위' 회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13일 오전 부산을 찾았다.

예보측은 비대위의 농성이 장기화되면서 대출이자 수납 및 만기 연장, 재산보전 등의 관리와 계약이전을 위한 재산실사, 부실관련자의 은닉재산 환수 등 예금자 피해 최소화를 위한 업무가 사실상 중단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 사장이 직접 부산을 찾았다고 밝혔다. 부산저축은행 본점 점거 농성 이후 지금까지 예보 임직원이 설득을 위해 부산을 찾은 적이 몇차례 있었지만 예보 사장이 직접 부산저축은행 본점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사장은 이날 오전 부산저축은행 본점을 찾아 "저축은행 부실로 겪고 있는 예금자들의 고통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예보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협조를 바란다"며 점거 농성 중단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날 비대위의 김옥주 위원장은 서울 방문을 위해 자리를 비운 상태였다. 김 위원장은 "어제 밤늦게 방문 소식을 받았다"며 "실질적인 피해보상책이 없는 한 일방적인 방문은 무의미하다"고 일축했다.

이 사장은 이날 부산저축은행 본점 방문 이후 부산상공회의소 등 지역 경제 단체 및 언론사, 관공서 등을 방문해 사태 해결을 위한 협조 등을 요청했다.

이날 부산을 방문한 예보의 한 관계자는 "영업정지 기간인 6개월 이내에 관련 업무를 완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더 이상 매각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면 매각 자체를 포기하고 파산으로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재산실사 중단으로 매각 작업이 늦어져 부산저축은행 등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이 파산에 이른다면 5천만 원 미만자들의 경우 2%대의 소정금리를 받을 수밖에 없다"며 "매각작업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5천만 원 미만 예금자들의 경우 당초 저축은행과 체결한 약정금리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서준녕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