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은퇴' 사회적 충격 대비를
부산복지개발원 심포지엄서 관련정책 통합 필요성 제기
갈수록 노인 인구 비율이 높아지고 베이비부머의 퇴직이 임박한 현실에서 노인들에게 생산적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충격을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교육 기회 보장, 관련 정책의 통합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 또 노인에 대한 인식을 바꿔 사회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ㅊ貫爰뮐側낱傷坪? 20일 오후 3시부터 부산진구 양정동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대강당에서 '고령사회의 쟁점과 부산시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나왔다.
우선 베이비부머 은퇴가 불러올 사회적 충격이 소개됐다. 한국전쟁이 끝난 1955~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는 2010년 현재 712만5천 명으로 추산된다. 전체 인구의 14.6%에 달한다.
기조강연에 나선 보건복지부 최원영 차관은 "2015년까지 53만 명 정도가 은퇴를 한다"며 "이럴 경우 경제활동 참가자 감소, 소비 감소, 부양자 감소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김수영 교수는 부산 지역 예비노인들의 생활 실태와 욕구에 대해 발표했다. 김 교수는 이들을 위한 법적 정비, 교육 기회 보장, 실버산업 육성 등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앞으로는 노인들의 욕구나 의식도 그 전과 확연히 달라지는 만큼 이들을 사회에서 생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고, 또 사회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기존의 노인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지난해 부산의 노인 인구 비율은 11.3%였다. 전국 평균(10.7%)보다 높다. 부산은 2015년에는 14.7%가 되어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마선 기자 m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