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화 아파트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단지화, 전용면적 극대화로 아파트가 공공성을 상실하고 사적 이익의 도구로 전락하였다. 사진은 부산 황령산에서 바라본 수영구, 해운대구의 아파트. 부산일보 DB

아파트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인 '아파트'가 출간됐다.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70년대 이후 정부와 민간기업은 공공용지는 줄이고 전용면적은 늘리는 정책으로 일관했다. 그 결과 공동주택의 의미가 사라지고 아파트는 사적인 치부의 수단으로 전락하였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다.

아파트는
공동주택의 의미 사라지고
치부 수단으로 전락했다.

공공성은 뒷전이고
이윤추구에 골몰하는 풍토,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에서
학습된 바 크다.


주거형태는 인간본성에 영향을 미친다. 공공성은 뒷전이고 이윤추구에만 골몰하는 풍토가 우리 사회에 만연하는 건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에서 학습된 바 크다. 삶의 공간이 사적 욕구 충족으로만 기능한다면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한국 국민의 60%가 아파트에서 산다. 파리의 에펠탑, 런던의 빅밴,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에 견줄 서울의 건축물은 아파트라고 한다.

아파트의 대단지화는 아파트가 본격 들어설 시점인 70년대 말부터 그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담장으로 주변 공간과 격리한 채 고층 주거동을 나란히 배치하며 단지 내부에 오픈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설계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전용공간의 고급화, 그리고 고밀화와 초고층화의 한결같은 길을 걸어왔다. 지난 2006년 발코니 구조변경 합법화 조치로 이 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고층화, 격자 배치, 동 간 간격 축소 등은 공용공간을 줄여 주거환경을 악화시켰다. 대신 전용공간 쪽에서는 발코니를 확대하고 전면폭을 키웠다. 초고밀도 개발에 대한 보상인 셈이었다.

부산의 경우를 보자. 동래 럭키아파트(1980년대), 해운대 신도시(1990년대), 해운대 센텀파크 아파트(2000년대)를 거쳐 해운대 마린시티(2010년대)를 보면 대단지화, 초고층화의 놀라운 변모를 느낄 수 있다. 물론 공공적 환경이 희생되고 고층화할수록 사적 공간의 고급화, 대형화와 함께 투자가치라는 두둑한 반대급부가 주어졌다.

짧은 기간의 변신을 보면서 이런 의문이 생긴다. 시간의 축적을 통해 삶이 나아진다는 보편적인 믿음은 과연 신뢰할 만한가. 불행하게도 한국의 보편적인 주거공간인 아파트에 관한 한 전혀 그렇지 않다.

아파트는 편리함과 쾌적함이라는 가치를 동원해 주거환경의 질적 악화를 교묘하게 포장하였다. 주거동 사이에 띄워야 할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인 인동계수는 1.25에서 0.8로 줄었다. 이 수치는 아파트를 바짝 붙여 지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 단지 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과거보다 훨씬 많아졌음을 보여 준다. 이를 눈치채지 못하는 이유는 초고층화, 발코니 확장 등으로 쾌적해진 것으로 느끼는 착시현상 때문이다.

주차장이 모두 지하로 내려가면서 내려다볼 수 있는 녹지 총량은 많아졌다. 하지만 단지에 사는 사람들의 숫자로 나누면 개인에게 배분되는 양은 보잘것없이 줄어든다. 결국 고밀도 개발의 후유증을 숨기기 위한 고층화의 눈속임이다.

초고층화는 단절을 더욱 심화시킨다. 한밤에 배달음식을 시켜 먹었다고 치자. 빈 그릇을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이라면 대문 밖에 내놓는다. 이에 비해 아파트는 현관 입구일 가능성이 높다. 눈이 내렸다고 치자. 아파트 거주자는 아파트 단지 안팎의 제설에 대해 그다지 걱정하지 않는다. 관리사무소 직원을 탓하거나 지자체를 불평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나 단독주택에 사는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계단이나 대문 앞 눈을 스스로 치워야 하기 때문이다.

아파트 / 박철수
이런 태도는 거주지가 인식하는 일상적인 생활공간의 범위를 드러낸다. 거주지에 대한 생각이 아파트의 경우 폐쇄적이고 단독주택의 경우 훨씬 개방적이라는 것이다. 내가 살고 있는 공간에 대한 책임이 단독주택은 우리 동네로 넓으며, 초고층 아파트는 전용공간으로 매우 좁다.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판치는 사회는 바로 이런 조그만 차이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이런 성찰의 시간을 가질 겨를도 내지 않고 정부는 오로지 경제적 효율과 주택공급 확대에만 열중하였다. 주택 건설업체와 입주민은 투자에만 매달렸다. 그러는 사이 주거형태의 공공성은 이제 그 취지를 찾아보기 힘들 지경이 됐다. 대규모 단지 만들기와 전용공간의 무차별적인 확장이라는 결코 통제되지 않는 욕망을 추구한 결과 공익의 무력화와 사익의 극대화만 남게 되었다.

'강남불패'라는 말이 사라졌다. 초고층 아파트와 대단지 아파트가 더 이상 재산 증식의 보증수표가 되지 않는 시대를 맞고 있다. 2005년 첫 입주 이후 지난 20년간 부산지역 대단지 아파트의 모태가 됐던 해운대 신도시의 신화도 이제 서서히 퇴색되고 있다. 앞으로 20년이 지나면 재개발로 문제가 해결될지 의문이다. 대단지화, 초고층화의 재앙이 머지 않았다.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의 사회가 맞이할 다음 세대의 주택은 어떤 모습을 할지 궁금하다. 박철수 지음/마티/320쪽/1만 6천 원.

이상민 선임기자 yeyu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