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18명 중 13명 "현 정부 임기 내 건설 시작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지역 여야 현역 의원들은 대체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의 분명한 의지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사진은 2013년 신년인사회에서 허남식 부산시장, 김석조 부산시의회 의장,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과 부산지역 국회의원,각급 기관장,기업체 대표 등이 신공항 가덕도 유치를 기원하는 종이 비행기를 띄우고 있는 모습. 부산일보 DB

"박근혜 대통령이 동남권 신공항 건설 의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부산지역 현역 의원들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의 분명한 의지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부산 국회의원 '신공항 설문' 분석

입지나 로드맵 결정 포함 땐
15명이 "차기로 넘겨선 안 돼"

수요조사 사전합의 요구엔
12명이 "불합리… 거절해야"

■ 박대통령 의지 밝혀야


부산일보가 지난 24~26일 부산지역 현역 의원(비례대표 포함) 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설문조사에서 응답자(18명) 가운데 83%(15명)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과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취하고 있는 입장'과 관련, '임기내 신공항 건설 의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답했다.

'객관적인 조사 결과가 나올때까지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7%(3명)에 그쳤다.

박 대통령이 당선 이후 신공항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의원 다수가 문제가 있다는 평가를 내린 셈. 대선 과정에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약속하며 지지를 호소했던 만큼 분명한 이행 의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새누리당 서용교 의원은 "대통령은 선거때 공약으로 그리고 취임후에는 '공약 실천'이라는 말로써 신공항 건설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면서 "당연히 객관적인 조사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중할 수 밖에 없으며 타 지자체가 지역적인 이해관계로 반발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갈등을 관리해야 한다"고 답했다.

같은 당의 하태경 의원과 무소속 문대성 의원도 박 대통령이 수요조사 등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중한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드러냈다.


■ 신공항 건설, 임기내에 시작돼야

'신공항 건설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에 대한 질문에도 '박근혜 대통령의 신공항 건설 의지 표명'이라고 답한 의원이 67%(12명)로 가장 많았다.

박 대통령이 분명한 의지를 표명하면 수요조사 등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라는 분석.

반면 신공항 건설을 위해 '경제적 타당성 증명'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힌 의원은 28%(5명)에 그쳤다. '일정과 방식 등에 관한 지자체들의 합의'를 꼽은 의원은 5%(1명)에 불과했다.

부산 의원들은 신공항 건설시기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현 정부 임기 내'라고 답한 경우가 73%(13명)로 다수였다.

현 정부내에서 건설을 시작하지 못해도 입지 결정이나 건설로드맵을 결정하면 된다는 의견 11%(2명)까지 포함할 경우 현 정부에서 신공항 건설을 확정하거나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나머지 16%(3명)은 '시기를 특정할 필요 없이 수요 증가에 맞춰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 수요조사 합의, 거부해야

신공항 수요조사와 관련, 국토교통부가 부산시를 비롯한 5개 지방자치단체에 '사전합의'를 요구한 데 대해서는 '불합리한 요구로 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67%(12명)로 다수였다.

나머지(33%, 6명)는 전례가 있는지 규명해야 한다는 등의 조건을 전제로 수요조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지자체간의 갈등 조정이라는 '순수한 의도'로 이 같은 제안을 했다면 받아들일 필요도 있다는 지적.

이헌승 의원은 "수요조사에서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부산이 수요조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합의 요구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정훈, 김도읍 의원은 해외 출장으로 이번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고 같은당 김무성, 유기준 의원은 답변을 거부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