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해공항 차별로 고사 위기에 놓인 부산 관광업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관광업계가 19일 정부의 일방적인 방역정책을 규탄하는 성명을 내고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여 동안 극심한 불황에 시달렸는데 정부가 이를 해소하기는커녕 오히려 가중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부산 관광업계가 특히 문제 삼는 건 김해공항 등 지방공항을 차별적으로 대하는 정부의 행태다. 지역 관광업에 큰 영향을 끼치는 국제노선을 인천공항에 비해 턱없이 적게 배정하고는 나 몰라라 한다는 것이다.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린 지방 관광업자들이 정부 정책에 집단 반발하고 나선 것인데, 그 심정이 충분히 이해된다.

방역 효율 명분으로 국제노선 제한
코로나 종식돼도 생존 불투명 우려

현재 인천공항의 국제노선은 모두 93개로, 대부분 주 2회 이상 운항되고 있다. 그 덕에 인천발 유럽여행 상품들이 완판되는 등 수도권 관광업체들의 업황은 근래 조금씩 나아지는 조짐을 보인다고 한다. 반면 김해공항의 국제노선은 중국 칭다오와 미국령 괌과 사이판으로 향하는 3개가 전부다. 그나마도 주 1회 운항에 그치고 있다.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코로나19 방역을 위해서는 인천공항으로 국제노선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결국 지난 2년여 동안 공항 방역에서는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았다는 말 아닌가. 이해하기 힘든 강변이요, 명백한 지방 차별이 아닐 수 없다.

지난해 하반기 코로나19 상황이 잠시 안정되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지역 관광업계의 지방공항 국제노선 재개 요구를 일부 수용했다. 김해공항의 부산-괌 노선이 중단된 지 1년 7개월 만인 지난해 11월 재개됐고, 12월에는 부산-사이판 노선도 열린 것이다. 하지만 주 1회 운항이라는 제한 조건으로는 관광객 유치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실제 부산-괌 노선은 재개 이후 평균 탑승률이 6%대, 부산-사이판 노선은 28%대에 그쳤다. 이 때문에 두 노선은 재개된 지 불과 한두 달 만에 다시 운항이 중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겨우 2개에 불과했던 국제노선 재개 허용도 결국은 생색내기였던 셈이다.

부산 관광업계는 정부가 현실을 외면한 행정 편의주의에 갇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지역 관광업 회복을 위해 김해공항의 국제노선을 더 확대하고, 노선당 운항 횟수도 최소 주 2회 이상 보장할 것을 요구한다. 정부는 이들의 요구를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지금도 이미 지역 관광업은 고사 직전이다. 2021년에만 무려 100개가 넘는 부산의 관광업체가 휴·폐업했다. 뚜렷한 조치가 없을 경우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더라도 그때까지 살아남을 업체는 거의 없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들이 단체로 성명을 내고 반발하고 나선 것은 지방 차별에 대한 항의이자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임을 알아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