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생애 첫 전기차를 사려면 알아야 할 것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수진 경제부장

올해 자동차를 사려는 소비자는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생애 첫 전기차를 살 것인지, 생애 마지막 내연기관차를 살 것이냐를.

2021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수급과 물류 차질로 어려웠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확대는 놀라운 수준이었다. 2021년 글로벌 순수전기차(BEV) 판매 대수는 400만 6000대로 전체 시장 침투율 5.2%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기차 시장 급속 성장
10년 내 내연기관 차와 균형
환경과 교통 체계 구축에 필수
제도·법률·인프라 지속 정비
윤리적 사회 합의도 이뤄져야


단연코 올해도 자동차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전기차다. 올해 전기차 시장 전망은 더 밝다. 올해 633만 대 이상 공급돼 침투율이 8%에 달할 전망이다. 이런 추세라면 10년 안에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비중이 비슷해질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로 나아가는 이유는 분명하다. 지구 환경 보호와 자율주행에 따른 교통 체계의 변화 때문이다.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태워야 하므로 전기차나 내연기관차의 환경 오염도는 비슷하다는 초기의 주장이 있었지만, 지금은 아무도 이런 말을 하지 않는다. 전기를 생산하는데 꼭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수소를 이용하면 되레 지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전기차 제조의 핵심 기술은 배터리이다. 전 세계 자동차 메이커와 관련 회사들이 크기가 작고 성능이 우수한 배터리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기차 운행의 핵심 기술은 자율주행이다. 전기차는 자율주행을 통해 스스로 충전하고 스스로 운행하면서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한다. 운전자의 개입을 없애는 것이 자율주행 기술의 목표다. 일부 내연기관차에도 자율주행 기술이 들어가긴 하지만, 이는 단순히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기차의 자율주행을 통해 글로벌 교통체계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여러 자동차 메이커들이 밝힌 미래 교통체계를 살펴보면 전기차가 한 스테이션에서 충전하다가 소비자의 콜을 받고 소비자를 목적지로 데려다주고 다시 가까운 스테이션에서 충전 대기한다는 것이다. 이 스테이션 옥상에는 드론을 기반으로 하는 장거리 택시가 소비자를 다른 도시로 운송한다.

현재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가 이끌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해부터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와 레이다를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만으로 자율주행을 운행하고 있다. 특히 ‘도조’라고 불리는 슈퍼컴퓨터로 차량 운행 중 얻어지는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하면서 자율주행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테슬라를 제외한 모든 차량 메이커와 자율주행 관련 업체는 라이다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완성해가고 있다. 이 두 진영의 완전 자율주행을 두고 펼치는 싸움도 흥미진진하다.

현재까지 가장 높은 자율주행 능력을 선보인 업체는 벤츠다. 독일 벤츠는 지난해 12월 독일 정부로부터 레벨3 자율주행 시스템인 ‘드라이버 파일럿’을 탑재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다. 자율주행 2까지는 사람이, 레벨3부터는 차량이 운전 주도권을 갖는다. 교통신호를 인식하고 앞차를 추월하거나 피하는 등 운전자의 개입 없이 운전한다. 다만 차량이 운전자에게 운전을 요구하는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개입해야 한다.

‘벤츠의 자율주행 기술이 다른 회사를 압도해서 먼저 레벨3으로 올라갔느냐’는 물음에 대해 전문가들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독일이 자율주행 기술 단계에 맞춰 법률을 지속해서 보완해 왔다. 독일은 우선 자율주행차 운행 주체를 차량 소유자, 생산자, 기술감독자로 분류한 뒤 각각 의무 사향을 규정했고, 자율주행 운행 데이터를 직접 정부가 관리하고 있다.

독일뿐 아니라 미국 일본 등도 관련 제도와 법률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은 2016년 연방 자율주행차 정책(FAVP)을 발표하고 자율주행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대한민국도 자율주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법과 규제를 정비하고 있다. 자율주행 정보 기록장치 장착을 의무화했고, 사고 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도록 사고조사위원회도 신설했다. 하지만 자율운행 사고 때 운전자에게 배상 책임을 전부 지게 한다. 이런 법률 아래에서는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 도로망과 통신 인프라 체계도 구축돼야 한다.

그리고 자율주행에 대한 사회적 윤리적 철학적 합의가 필요하다. 만약 레벨4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 중인 차량이 낭떠러지를 만나 차량의 방향을 바꿀 경우 행인 5명을 칠 수 있다고 했을 때 이 차량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행인을 희생해야 할까 아니면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운전자를 희생해야 할까. 이런 고민에 기꺼이 동참할 각오라면 생애 첫 전기차 구매를 고려해도 좋을 듯하다.

kscii@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