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동참하나… 문 대통령, 선택 기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랜 동맹인 미국과 내년 동계 올림픽 개최국 중국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개최국 중국과 오랜 동맹인 미국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미·중 간의 선택을 요구받는 외교적 부담 때문이다.

청와대는 일단 정부 차원의 보이콧 여부에 관해 정해진 게 없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8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는 현재 베이징 동계 올림픽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미국은 외교적 보이콧을 발표하기 전 한국 측에도 이를 미리 알려왔다”며 “그러나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외교적 보이콧을 할지는 각국이 판단할 사항이라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청 “보이콧, 검토하고 있지 않아”
정부 차원 ‘전략적 모호성’ 유지
문 정부 ‘종전 선언’ 차질 불가피

그렇다고 해서 한국이 참석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은 아니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우리 정부의 참석과 관련해 결정된 바가 없다. 결정되면 알려줄 것”이라고 했다. 동맹을 바탕으로 한 안보적 문제에서는 미국을, 무역 규모를 감안한 경제적 이해 관점에서는 중국을 오갔던 선택적 실용외교 노선이 올림픽 보이콧 문제를 계기로 딜레마에 빠진 것이다.

일각에서는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종전선언을 이끌어내 임기 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의 물꼬를 트겠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 추진에 대한 의지가 여전한 데다, 중국의 협력을 통해 북한을 움직이기 위해서라도 올림픽 불참은 부담스러운 선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정부와 청와대가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통한 종전선언 추진 방안과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이 최근 포착되는 것이 변수다. 결국 정부는 한반도 정세 변화와 추가적인 국제 사회의 보이콧 추세를 관망하면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도쿄올림픽 당시 개회식 나흘 전인 7월 19일에서야 개회식 불참 입장을 공식 선언했던 것처럼 대회가 임박할 때까지 ‘전략성 모호성’을 꾸준히 유지했던 전례가 있다. 일각에서는 9일 미국이 문 대통령의 참석이 확정된 조 바이든 대통령 주재의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대중국 견제 동참을 압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석호 기자 psh21@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