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응급의료서비스 구·군 불균형 방치 안 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같은 부산임에도 구·군에 따라 긴급한 의료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서비스의 편차가 심각하다는 연구 논문이 나와 주목된다. 부산대 정주철 교수와 동의대 이달별 교수 등 5명이 작성한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의 지역 간 불균형 연구’를 보면 부산진·수영구 등은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이 원활한 반면 기장·강서·금정구 등은 크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에 따라 공공 응급의료의 접근성에 격차가 있음을 보여 준 것인데, 앞으로 부산 응급의료 체계 개선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특히 취약 계층이 밀집한 지역은 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은 부산시가 경청해야 할 대목이다.

응급 상황 때 ‘출동·병원 이송’ 격차 심각
지역 맞춤형 의료시스템 보완·개선 시급

이 연구 논문은 부산의 58개 119안전센터와 28개 종합병원급 이상을 기준으로, 응급의료서비스를 ‘출동’과 ‘병원 이송’ 2단계로 나눠 분석했다. 16개 구·군 중에선 부산진구가 골든타임 15분 내 출동·이송이 가능한 곳이 350개로 가장 많았다. 수영구는 골든타임 내 출동할 수 있는 면적이 가장 넓었다. 반면 강서구는 골든타임 내 출동·이송이 3곳에 불과했고, 금정구는 골든타임 내 출동 면적이 적어 대부분 구민이 응급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 상황 때 어느 곳에 사느냐에 따라 생사의 갈림길이 달라질 수 있다는 말인데, 의료 선진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이 이런 격차를 그대로 나둬선 될 일이 아니다.

골든타임 내 출동·이송이 이처럼 크게 차이가 난 것은 주변에 종합병원의 유무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상·금정·사하·강서·동구와 기장군은 인근에 종합병원이 부족해 출동보다 병원 이송에 더 시간이 걸렸다. 반면 서구와 중·영도구를 아우르는 남부산권은 주변에 종합병원이 있어 이송에 많은 혜택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같은 구·군 안이라도 소지역 간 격차가 심한 곳이 많고, 또 원도심 일대 등 응급사고 발생 지점과 취약 계층 밀집지가 동일하게 겹치는 점은 부산 응급의료 체계의 또 다른 빈틈으로 지적됐다. 부산 전체와 구·군 내 소지역별 응급체계를 함께 아우르는 다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촌각을 다투는 생명에 우열이 없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지금 부산의 극심한 응급의료서비스 불균형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부산시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장·단기 계획을 수립해 이를 해결하려는 정책적 의지를 꼭 보여 줘야 한다. 당장은 지역 119안전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 의료기관 간 세부적인 지역맞춤형 응급의료 체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 민간 응급 이송 기관과 차별적인 역할 확립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으로 나가야 한다. 특히 부산은 전국 최고의 고령화 도시다. 갈수록 응급의료 체계의 비중과 중요성이 부각될 수밖에 없다. ‘15분 도시’를 지향한다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