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 우려 높은데… 신항 서컨 운영사 선정 무리수 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는 2023년 개장을 앞두고 있는 부산항 신항 서측 컨테이너 부두 전경.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 신항 서측 컨테이너 부두 운영사 선정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항만업계와 노동자단체에서 물량 창출과 관련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항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계약을 사장 교체 시기에 무리하게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온다.

15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컨 운영사 선정을 위한 재공모에 단독으로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가칭 ‘동원신항컨테이너터미널 컨소시엄’과 BPA의 가계약이 추석을 전후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BPA도 2023년 7월 서컨 2-5단계 3개 선석 개장을 위해서는 운영사 선정을 더 미룰 수 없다며 가능하면 추석 전에 가계약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물량 창출 못하면 ‘승자의 저주’
업계·노조 우려 목소리 높은데
BPA, 추석 전후 강행 분위기
사장 교체 시기 계약 납득 안 돼
앞선 BPT협상과 형평성 문제도


그러나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사와 운영사는 물론, 항운노조에서도 신규 물량 창출에 대한 확실한 계획이 없는 현재 상태에서 계약이 진행될 경우 하역료 덤핑 등 부작용이 클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때문에 항운노조에서는 이날 BPA 관계자를 급히 면담하고, 계약에 신중을 기해달라는 취지의 공문을 BPA에 전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윤태 부산항운노조위원장은 “컨소시엄에 참여 중인 북항 DPCT(동원부산컨테이너터미널)가 신항으로 물량을 이전하는 데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북항 물량 외에 명확한 신규 물량 창출 계획이 없는 상태에서 계약이 이뤄질 경우 결국 나머지 북항 물량을 신항으로 빼갈 우려가 크고, 이렇게 되면 나머지 북항 노동자들의 일감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터미널업계에서는 신항의 노른자위라 할 수 있는 서컨 부두를 동원컨소시엄이 차지하더라도 신규 물량 창출에 실패할 경우 ‘승자의 저주’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내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2-4단계 3개 선석(운영사 BCT)이 차례로 문을 열 예정인 데다가 최근에는 남측 부두 3개 운영사의 운영 통합 가능성마저 솔솔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 신항 운영사 관계자는 “남컨 4부두(HPNT)와 2-4단계 부두는 HMM에서 지분을 갖고 있고, 그 사이에 낀 5부두(BNCT)를 합치면 총 9개 선석이 나온다”며 “여기에 애초 운영사 통합이 추진되던 1부두(PNIT)까지 합쳐진다면 글로벌 3대 해운동맹 중 2개인 ‘디얼라이언스’와 ‘오션얼라이언스’의 물량까지 다 처리가 가능해 사실상 신항에 남는 해운동맹 물량이 없어질 것이다”고 말했다. 나머지 해운동맹인 ‘2M’의 경우 2부두(운영사 PNC)와 10년(7+3년) 장기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지난해 1월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가 협상이 결렬된 북항 BPT(부산항터미널)·HMM 컨소시엄의 경우 3개월 협상 기간에 1개월 더 연장한 4개월 동안의 줄다리기 협상을 벌인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협상 1개월도 안 돼 가계약 체결 이야기가 나오면서 앞선 협상과 대조된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대해 장형탁 BPA 물류정책실장은 “애초 추석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려고 했지만, 정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돼 추석 이후로 계약을 미루기로 했다”며 “우선협상대상자 측에 물량 확보를 증명할 수 있는 선사의 의향서를 더 제출하라고 요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자영 기자 2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