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소득·복지… 부산시민 삶 불만족, 서울의 2~3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서울 유권자 정치의식 조사

부산과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도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일자리, 소득, 교육, 복지 등 대다수 분야에서 부산과 서울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2019년 9월 부산대 정문에서 학생들이 부산시에 바라는 청년 정책을 적는 모습. 부산일보DB

4·7 보궐선거 전후로 세대 간 의식은 어떤 차이를 보일까? ‘2021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유권자 정치의식 조사’는 이런 궁금증을 풀기 위해 진행됐다. 4월 27일부터 5월 7일까지 부산과 서울에 사는 유권자 3817명을 연령과 성별에 비례해 조사했다. 정치사회적 인식은 물론이고 부산·서울 간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도 담겼다. 부경대 지방분권발전연구소가 조사를 진행했다.


주거·환경 여건만 두 도시 비슷
교육·문화 등 부산 만족도 저하
‘도시 더 발전’ 서울 52 부산 33%
도시 떠나고 싶은 이유 1순위
서울 부동산, 부산은 일자리
시민 80% “경제력 집중 심각”
60%는 “정부 무관심에 쇠퇴”


■주거·환경 빼곤 “나은 게 없다”

부산시민들은 일자리, 소득, 교통 환경, 교육 여건, 사회복지, 문화생활 등 대다수 분야에서 서울시민에 비해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제2의 도시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의 격차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부산시민의 27%는 도시의 일자리에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했지만, 서울시민의 응답은 10.2%에 불과했다. 매우 불만의 비율이 2.6배나 높았다. 교육 여건에 매우 불만을 드러낸 부산시민은 7.9%로 서울시민(4.5%)보다 배가량 많았다. 소득 수준 역시 불만족(매우 불만+약간 불만)인 부산시민은 40.4%였지만, 서울시민은 28.4%에 불과했다.

이는 지역청년 유출 현상으로 고스란히 이어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4월 부산 인구 2085명이 타 시·도로 순유출됐는데 이 가운데 서울·경기 등 수도권을 택한 이가 1026명이다. 일자리를 찾거나 진학을 위해 부산을 등진 10~30대가 대부분이다. 3년째 서울살이를 하는 직장인 이승규(33) 씨는 “주거 여건 등 서울의 단점이 분명하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은 회사에서 괜찮은 대우를 받고 일하기 위해서는 다른 선택이 없었다”며 “지역청년들을 위한 정책을 논한다면 0순위가 바로 일자리와 교육”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주거 여건과 환경(대기·수질)에 대한 만족도는 두 도시가 엇비슷했다. 주거 여건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서울시민은 37.9%였고 부산시민은 36.7%였다. 환경 측면에서 불만족스러운 서울시민은 42.8%, 부산시민은 35.7%로 나타났다. 서울의 높은 집값과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대변되는 기후 문제가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교통 환경, 사회 복지, 보건 의료 등 도시 인프라와 안전망 관련된 분야에서는 여전히 부산의 만족도가 눈에 띄게 떨어졌다. 특히 문화 생활 측면에서 매우 불만족한다는 시민은 부산이 서울의 3배를 넘어서는 실정이다.



■기대마저 사라지는 부산

도시 전반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만족도가 낮다 보니 도시 성장에 대한 기대치마저 꺾여 버린 상황이다. 지방도시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는 순간 지방소멸은 현실이 된다.

서울시민들의 51.8%는 도시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부산시민의 응답률은 32.9%에 불과했다. 지난 3~4년 전에 비해 지금이 더 많이 발전했다고 인식하는 부산시민(23.3%)은 서울시민(40.8%)의 절반에 불과하다.

‘현재 거주하는 도시를 떠나고 싶으냐’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한 서울시민은 25.9%, 부산시민은 24.2%로 나타났다. 대다수 분야의 만족도가 현격히 부족하지만 도시에 대한 자긍심과 애착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도시를 떠나고 싶은 마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민들이 도시를 떠나고 싶은 이유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것은 바로 고용·실업 문제(43.6%)다. 서울시민들이 1순위로 부동산 문제(44%)를 꼽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제2의 도시인 부산이 쇠퇴한 것과 관련해 부산시민들의 59.7%는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중앙정부의 무관심을 꼽았다. 좋은 일자리와 소득 등 경제력 집중 문제에 대해 79%의 부산시민들이 ‘심각하다’고 답했고 교육기관(71%)과 정치권력(73.5%)의 편중 문제도 심각하다고 봤다. 권력 집중 현상에 대해선 서울시민보다 부산시민의 체감도가 높았다.

지방분권전국회의 박재율 상임공동대표는 “산업, 경제 등 모든 사회적 시스템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지역민들의 자괴감과 열패감이 갈수록 깊어진다”며 “지방소멸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부울경 메가시티 등 지방균형발전 정책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