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음주' '재방송' 강의 활개 치는 대학 온라인 수업의 민낯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 교육 현장 모습을 바꿔 놓았다. 교수는 텅 빈 교정의 강의실에서 웹캠을 통해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강의를 힘들게 진행하고, 학생들은 집이나 카페에서 컴퓨터로 혼자서 수업을 듣고 있다. 교수와 학생 간의 질의응답이나 열띤 토론 등 상호작용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 사태가 발발한 지난해가 비대면 강의의 시행착오를 거듭한 시간이었다면, 2021년은 이런 문제를 점검하고 보완·개선하는 노력이 당연히 나왔어야 하는 시기다. 코로나 2년 차인 지금도 대학가에서 온라인 수업의 질과 문제점에 대한 불만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은 안타깝다.

코로나 2년 차에도 비대면 문제 많아
강의 콘텐츠 경쟁력 업그레이드 기회

보도에 따르면 부산지역 대학가에 비대면 강의가 확산되면서 “대면 강의에 비해 수업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학생들의 원성이 자자하다고 한다. 부산대에서는 강사가 술을 마시고 강의계획서와는 전혀 무관한 건담 프라모델 조립으로 온라인 강의를 진행해 물의를 빚는가 하면, 어떤 강사는 사전 공지도 없이 한 달간 전공필수 과목 수업을 하지 않아 학생들이 대자보를 내거는 사태까지 발생했다고 한다. 동아대에서도 지난해 온라인 강의를 올해도 업데이트 하나 없이 똑같이 올려 “현재 시점과 맞지 않는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한 대학 강사는 온라인 수업 중 노래를 불러 대학본부로부터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이다. 비대면 수업의 질에 대한 불만이 팽배해 있다는 방증으로 볼 수밖에 없다.

대학 강의의 수준과 경쟁력은 온·오프라인을 떠나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해선 안 될 핵심 가치다. 그런 면에서 “부실한 비대면 강의로 인해 학습권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수업 질 향상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대학생들의 요구는 너무나 당연하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전국 4년제 대학 총장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단에게 “비대면 교육이 내실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질 관리에 신경 써 달라”고 부탁했던 것도 똑같은 취지이다. 낮은 비대면 강의 수준으로 휴학생이 늘어날 경우 가뜩이나 정원 부족 사태에 시달리는 지방대학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오는 2학기도 대학 강의가 비대면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이미 세계적인 석학들의 강의를 온라인으로 무료 청강하고, 강의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시대다. 팬데믹은 대학 혁신의 기회이기도 하다. 이제는 교육의 핵심인 강의 콘텐츠 경쟁력과 전달 방법을 업그레이드하고,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여 나갈 방법을 찾아야 한다. 효율적인 온·오프라인 강의 비중과 역할 배분도 고민해야 한다. 비대면 수업의 질을 개선하는 데 대학의 힘만으로 한계가 있다면 교육부와 지자체, 기업들도 두 팔을 걷고 함께 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한다. 대학의 경쟁력이 지역과 국가의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