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단상] 야생동물 복원과 동시에 전국적 서식환경 조성도 필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태권 지역사회부 동부경남팀장

‘2016년 5월 20일(황새)’과 ‘2021년 4월 26일(따오기).’

이날은 한반도에서 멸종됐던 ‘황새’와 ‘따오기’가 각각 45년, 42년 만에 야생 부화에 성공한 날이자, 이들 새 복원에 나선 지 20년과 13년 만에 쾌거를 이룬 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부산일보를 포함한 언론에서 앞다퉈 기사로 다뤘다.

돌이켜 보면 본보는 2007년 10월 15일부터 11월 16일까지 10회에 걸쳐 ‘멸종 야생동물 복원 이대로 좋은가’라는 제목으로 당시 야생동물 복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해외 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대책을 취재해 보도했다. 미국 옐로우스톤 국립공원의 늑대 복원 과정을 취재하면서 ‘늑대 복원이 단순히 개체 수만 늘리는 효과만 있는 게 아니라 생태계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생태계 건강성 회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황새와 따오기는 과거 우리나라 들녘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새였지만 포획과 서식지 훼손, 농약 살포로 인한 먹잇감 고갈 등으로 1971년과 1979년 이 땅에서 사라졌다. 환경부는 1989년 특정 야생동물을 지정해 멸종 위기 동물에 대한 관리를 시작했고, 1998년 ‘멸종 위기 야생동물 복원기술 개발’ 프로젝트로 반달가슴곰 복원에 나섰다.

앞서 1970년대 제주에서 식물을 대상으로 복원사업이 시작됐고, 1994년부터 월악산 산양 복원을 위해 세 차례에 걸쳐 산양 6마리를 방사한 적 있었지만, 정부 주도 야생동물 복원사업은 2004년 반달가슴곰부터 본격화됐다. 이후 10여 년 지나 반달가슴곰은 70여 마리, 황새는 60여 마리, 따오기는 80여 마리(이달 중 방사된 따오기 포함) 정도가 야생에서 서식 중이다. 반달가슴곰과 황새는 방사 3세대가 태어나기도 했다.

복원사업을 통해 야생에서 서식하는 동물 개체가 늘어나면서 서식지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5년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인 KM-53은 거창 수도산, 구미 금오산, 충북 영동 민주지산을 오가면 살고 있다. 황새도 고향인 예산을 넘어 김해와 창녕 등 우리나라 내륙과 멀리 중국과 러시아, 대만, 일본까지 영역이 확대됐다. 따오기도 창녕 우포늪에 서식 중이지만, 강원도 영월이나 경북 고령, 대구 달성까지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문제는 복원사업이 진행 중인 지자체는 정부와 인근 주민, 일부 지자체들의 도움으로 야생동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고 있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여전히 야생동물을 사라지게 한 조건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보존해야 할 서식지마저 훼손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양산 사송신도시 공사 현장에서 멸종위기종 2등급인 고리도롱뇽과 흰목물떼새 서식환경이 파괴되자, 이들의 구조와 새 서식지가 마련될 때까지 공사를 중지시킨 바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멸종 야생동물 개체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원된 동물의 먹이와 활동공간을 확보해주는 조치가 필수적이다. 나아가 복원사업을 진행 중인 지자체를 넘어 우리나라 모든 지자체가 ‘야생동물이 살지 못하는 곳은 인간 역시 살 수가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야생동물과 공존해 살아갈 수 있도록 환경 보호는 물론 서식환경 조성에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 ktg660@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