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학, 주민 직업교육까지 책임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를 맞는 지역 대학을 살리려면 기업 유치와 함께 지역 주민을 고등교육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역 대학들은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감축하고, 이전 공공기관의 비수도권 인재 채용 비율을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시와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17일 오후 해운대 벡스코에서 ‘2021 교육분권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지역 대학의 위기는 지역 사회의 위기’라는 주제로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지역 대학 총장·교수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벡스코서 ‘2021 교육분권포럼’
지역 대학 위기 극복 방안 토론
공공기관 지역 인재 채용 확대
“수도권 대학 정원 감축” 주장도

첫 발제자로 나선 부경대 장영수 총장은 올해 지역 대학의 신입생 모집 절벽 등 위기 상황을 공유하고 ‘혁신+공유+융합’을 선도하는 지역 대학의 역할을 강조했다. 장 총장은 “정부가 대학의 학점·전공·교양 하나하나 간섭한다면 지역 대학의 특성을 살리기 어렵다”면서 “새로 들어설 해운대 센텀2지구에 땅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지역 대학에 훨씬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백가쟁명식의 지역 대학 위기 극복 방안이 쏟아졌다. 동아대 국제전문대학원 황기식 교수는 부산만의 ‘소프트 파워’를 발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영국의 두 번째 도시 맨체스터 사례를 공유했다. 그는 “맨체스터는 인구나 대학 규모, 지역생산 등 ‘하드파워’ 면에서 런던과 경쟁할 수 없었기에 다소 엉뚱하지만 ‘축구’라는 소프트 파워를 내세웠다”면서 “덕분에 이벤트 업체, 통계 회사, 구장 관리 기업 등 축구 관련 업체들이 대거 맨체스터로 모여들었다”고 설명했다.

경성대 경제금융물류학부 김종한 교수는 모든 지역 주민이 대학생이 되는 ‘커뮤니티 칼리지’를 제시했다. 지역 대학이 주민 평생교육은 물론 직업교육까지 책임지는 것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위원인 동명대 전호환 총장은 “수도권 대학이 전체 정원의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 대학 정원을 줄이는 데 비수도권에서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면서 “한계 대학 청산을 위해 학교법인이 대학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퇴로를 열어줄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대 차정인 총장은 “이전 공공기관에서 해당 지역 인재 채용 30%에 비수도권 인재 20%를 추가로 채용하도록 하는 법이 꼭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석하 기자 hsh03@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