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 플랫폼’ 포기… 부산 ‘내 갈 길’ 간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자체와 대학, 기업 등이 협업해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부산일보 2월 10일 자 10면 보도)에서 부산시가 경남과 복수 플랫폼 구성을 포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보다 대학이 훨씬 많은 부산은 경남과 사업 관련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인데, 이는 ‘동남권 메가시티’ 방향과도 맞지 않아 아쉽다는 반응도 나온다.

교육부는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에 신규로 대전·세종·충남 플랫폼, 전환형으로 울산·경남 플래폼을 예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은 인구 감소와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자체와 지역 대학이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취·창업과 정주를 아우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 올해에만 2439억 원이 투입된다.

경남과 플랫폼 구성 협의 결렬
“부산의 특성 반영 어렵다” 판단
내년 ‘단일형 공모’ 독자 추진키로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차질 우려

지난해에는 경남과 충북이 단일형 플랫폼 사업에, 광주·전남이 2개 이상 지자체가 연합한 복수형 사업에 각각 선정됐다. 올해에는 신규 복수형 사업 1개와 기존 단일형을 복수형으로 전환하는 사업 1개 등 총 2개 사업만 공모가 진행됐다. 이에 단일형이었던 경남 플랫폼에 울산이 추가돼 복수형으로 바뀐 것이다.

경남·울산 플랫폼에는 17개 대학, 46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한다. 기존 핵심분야(제조엔지니어링, 제조정보통신기술, 스마트공동체)에 ‘미래이동수단’ ‘저탄소그린에너지’를 추가해 5개의 핵심분야를 설정했다. 애초 부산시도 △친환경조선기자재 △스마트해양물류 △해양신서비스 등의 3개 핵심분야를 설정하고, 경남 플랫폼에 참가하려 했다. 그러나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만 22개인 부산은 경남보다 덩치가 크기 때문에 경남 플랫폼에서 부산의 특성화를 담아내기가 쉽지 않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았다.

부산시는 경남도와 합의 과정에서 3개 핵심분야 중 해양신서비스를 포기하고 친환경 조선기자재를 경남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했다. 이렇게 되면 참여할 수 있는 부산지역 대학이 많지 않다는 게 문제였다. 사업 예산의 배분 또한 발목을 잡았다. 지역 대학의 한 관계자는 “기존 경남 플랫폼이 받는 300억 원에 부산·울산이 합세하면 150억 원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면서도 “협의 과정에서 부산에는 50억 원만 배정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는 도무지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었다”고 말했다.

결국 부산시는 올해 지역혁신 플랫폼 신청을 포기하고 2022년에 단일형 공모가 나오면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대학들도 억지로 경남 플랫폼에 참여하는 것보다 내년 단일형 공모에 신청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면서 “다른 지자체들과 연계해 교육부와 기획재정부에 단일형 사업의 필요성를 계속 알릴 예정이다”고 전했다.

하지만 내년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에 단일형 사업 공모가 다시 나올지는 미지수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재부와 계속 논의를 해야해서 내년에 단일형 사업이 나올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