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수소전기차 1070대에 충전소는 달랑 2곳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수소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로 부각되면서 지자체별로 앞다퉈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부산의 경우 수소전기차 공급에 비해 수소충전소 보급이 턱없이 부족해 충전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적지않다. 하지만 수소충전소 입지가 거론되면 주민들의 반대로 설치가 번번이 무산되면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소충전소 확대를 위해선 외곽이 아닌 도심내 공급이 이뤄져야 하고, 시민 의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선도 지자체의 벤치마킹 등이 진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4월 말 수소전기차 등록대수
전국 지자체 중 6번째로 많아
공급 대비 충전소 보급 최하위권
주민 반발·눈치보기 행정 등 영향
GB 내 충전소 허용 등 대책 모색

■공급 대비 충전소 보급 최하위권

4일 부산시와 현대차,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지자체별 수소전기차 등록현황에서 부산시에는 전국 지자체 중 6번째로 많은 1070대가 보급돼 있다. 반면, 수소충전소는 단 2기만 공급돼 한 기당 감당해야 할 차량대수가 전국 17개 시·도중 535대로 강원도(610대) 다음으로 많다. 특히 2곳 가운데 한 곳 이용률이 거의 90%에 달해 시민들이 충전에 3시간 이상 대기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인근 울산의 경우 9기, 경남은 7기의 수소충전소가 설치돼 있는 것과 대비된다.

이처럼 부산의 수소충전소 공급이 부족한 것은 각종 입지 규제에 주민들의 반발, 지자체의 눈치보기 행정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부산에서 추진한 수소충전소 3곳(동구 1곳, 기장 2곳) 모두 이런 이유들로 무산됐다. 현재 수소충전소가 추진되는 곳은 모두 6곳이며, 이 가운데 건축 승인이 난 곳은 한 곳이고 나머지는 인허가가 진행되거나 준비중이다.

부산시는 올해 수소전기차 1200대를 추가 공급할 계획이어서 수소충전소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차주들의 불편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그린벨트 내 충전소 등 해법 분주

현재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60기. 정부는 올해 81기를 포함해 내년까지 총 310기 구축을 완료한다는 로드맵을 세웠다. 하지만 주민 민원 못지않게 현행 법상 부지선정 조건이 까다롭다.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단독 부지 면적은 약 991㎡(300평) 이상이어야 하고, 어린이놀이터, 유치원, 경로당 등과 수평거리 50m, 공동주택과 수평거리 25m 등의 규제를 지켜야 한다.

정부는 일단 해법으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내 택시·전세버스·화물차 차고지에 수소차·전기차 충전소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개정안을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켰다. 하지만 도심 외곽 충전소는 이용불편 등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수소충전소 입지와 관련, 김영관 수소친환경에너지연구소장은 “기존 LPG 충전소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는 방안을 먼저 추진하고, 그 다음 대안으로 LPG 충전소 부지에 경제성과 안정성이 보장된 액화수소충전소를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액화수소충전소의 경우 충전용기가 아직 개발단계이지만, 지금의 기체수소충전보다 용기에 8~10배 더 담을 수 있고 용기 폭발의 위험도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동하 박사는 주민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과 지자체 로드맵 마련을 주장했다. 임 박사는 “울산의 경우 기존 석유화학단지들이 많아 주민들이 수소에 대한 두려움이 적은 편이지만 부산은 그렇지 않다”면서 “수소충전에 대한 공익광고, 환경단체와의 심포지엄, 울산 창원 등 선도 지자체 벤치마킹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덕준·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