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생이모자반 한우 먹이 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어촌에 대량으로 밀려들어온 괭생이모자반이 해안을 뒤덮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그동안 애물단지 취급을 받아온 괭생이모자반을 한우와 전복 사료 원료로 개발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연안 어업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이 한우와 전복의 먹이가 된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4일 “최근 우리나라 연안에 대량으로 밀려와 연안어업, 양식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을 한우와 전복 사료의 원료로 개발하는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양식 피해에 해안가 악취 주범
수과원, 전복 사료 등 개발 연구

괭생이모자반은 1월에서 5월까지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 서해로 대량 유입돼 수산물에 피해를 준다. 또 해안가에 쌓이면서 부패해 악취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수입산 미역 분말에 의존하고 있는 전복 배합사료 원료를 괭생이모자반으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또 한우 사육용 첨가제로도 개발한다. 최근 미국과 호주에서는 소에게 해조류를 사료에 첨가하여 먹인 결과, 온실가스의 주요 성분인 메탄가스를 80% 정도 감소됐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완현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매년 대량 발생하여 양식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향후 소의 메탄가스 저감 효과도 구명하여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