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공유대학’도 수도권 독식… 지방은 ‘찬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가 올해 초 지역 대학 육성지원 방안 중 하나로 ‘디지털 혁신공유대학’(부산일보 3월 16일 자 18면 보도)을 발표했는데, 선정 결과 각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사업을 이끌 주관대학 대부분을 수도권이 독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선정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앞서 요건을 갖춘 41개 대학 연합체(컨소시엄)를 대상으로 선정 평가를 진행한 뒤 신산업 8개 분야에서 분야별로 컨소시엄 1개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표 참조)했다.

주관대학 8곳 중 7곳이 수도권
지방선 AI 분야 전남대 ‘유일’
서울대는 두 곳서 중복 선정
부산·부경·동의대는 ‘참여대학’
정부, 지역 대학 육성 의지 의문

정부는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에 ‘한국판 뉴딜’ 신규 과제로 816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컨소시엄 대학들은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국가 수준의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10만 명을 양성한다. 이들 대학은 표준화한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운영한다.

문제는, 인공지능 분야의 전남대를 제외하고는 수도권 소재 대학이 분야별 주관대학을 독식했다는 점이다. 서울대의 경우 빅테이터와 차세대반도체 부문 두 분야에서 주관대학으로 중복 선정됐다.

반면 부산 지역 대학 중에선 부산대가 미래자동차 분야 주관대학으로 컨소시엄을 꾸렸으나 탈락했다. 경남정보대(에너지신산업), 동의대(바이오헬스), 부경대(지능형로봇), 부산대(에너지신산업) 등 부산 지역 대학 4곳만 참여대학으로 선정되는 데 그쳤다.

각 분야에서 주관대학과 참여대학들이 반드시 협의를 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주관대학 일변도로 사업이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비수도권 대학 중 주관대학이 한 곳밖에 없다는 점은 못내 아쉬움이 크다. 주관대학과 해당 지역 산업도 협업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수도권 대학이 주관대학을 맡는 것이 지역에도 이득이다. 부산대 역시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부품산업을 염두에 두고 미래자동차 분야 주관대학으로 컨소시엄을 꾸린 것이다.

애초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의 역량 차이를 고려해 지역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주관대학에도 할당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부산대 김석수 기획처장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수도권 대학이 주관대학으로 선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기 때문에 2~3개 분야에서 지역거점국립대가 주관대학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결과를 펼쳐 보니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수도권 대학을 주관대학으로 선정한 컨소시엄이 워낙 많아서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면서 “각 분야에서 대학별로 고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고, 수도권·비수도권 구분 없이 사업 성과를 가져갈 수 있다”고 말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