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논리에 초등교육 특수성 사라진다” 배수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교대 구성원 통합 반대 왜?

대학 안팎의 극심한 반발 속에 부산교대와 부산대가 통합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 대학 통합 논의는 학령인구 감소를 근거로 한 ‘공동발전’ 목적 아래 추진됐지만, 대학 통합이 전문 교원을 양성하는 교대의 특수성을 말살하는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임용 감소 등 교대 축소 불가피
초등교사도 융합적 학문 배워야
전문적인 교원 양성 체계 무너져
학생 등 “합의 무시된 밀실 협약”

■부산교대·부산대 통합 왜?

부산교대와 부산대에 따르면 이들 대학은 크게 △학령인구 감소 △교원 임용률 하락 △대학 공동발전대책 모색 등을 이유로 통합 논의를 진행한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학령인구 감소다. 저출생 기조가 이어지면서 최근 농어촌 지역이 아닌 대도시에서도 문을 닫는 초등·중학교가 느는 추세다. 두 대학은 통합 논리로 향후 10년 이내 부산 초등학생이 40% 이상 감소한다는 점과 이로 인한 임용 감소, 교대 정원 감축, 재정압박 가능성 등의 연결성을 내세운다. 한마디로 앞으로 교대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이야기다. 이 경우 학생이 줄어들면서 교원 수도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부산교대와 부산대의 통합 논의도 이 같은 저출생 기조에서 비롯됐다.

부산교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임용 합격률은 83.3%였으나 2018년 73.7%, 2019년 64.8%, 2020년 72.7%로 하락세다. 올해는 최근 5년 중 최저 수준인 64.6%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도 2017년 전국 시·도별 초등교사 모집 인원은 6602명이지만, 2018년에는 초등교사 모집 인원은 4088명으로 2017년 대비 40%가량 줄었다. 2019년 모집 인원은 4032명, 2020년은 3866명으로 저출생 현실에 맞춰 감소 추세다.

학령인구 감소, 임용률 하락 등 배경을 토대로 부산교대와 부산대는 2017년부터 대학 통합 논의 물꼬를 텄다. 2018년에는 전호환 전 부산대 총장이 두 대학 공동발전 필요성을 주제로 부산교대에서 특강을 했으며, 2019년까지 양 대학 처장단 정례회의를 통해 교류협력증진과 공동발전방안이 논의됐다. 2019년 12월 부산대에서 부산교대를 거제교육특화 캠퍼스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거론되기도 했다. 부산대 차정인 총장은 “초등교사도 종합대학에서 융합적인 학문을 배워야 한다는 게 여러 연구자의 생각”이라며 “대학 통합은 앞으로도 세밀한 논의를 거칠 것이며 논의 절차는 모두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커지는 ‘통합 반대’ 목소리

부산교대 안팎에서 대학 통합 반대 목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장 큰 이유는 초등 교육의 특수성과 교원 전문성 때문이다. 종합대학과 교육대학이 통합될 경우 전문적인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대만의 특수성이 틀어질 수 있다는 게 요지다. 교대는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다. 교대에서 배출된 교원들은 초등교육 현장에서 과목별 교육은 물론 아이들 발달에 맞춘 ‘전인교육’ 교육과정도 운영한다. 교대가 종합대학에 흡수 통합될 경우, 이 같은 전문 교원 양성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교대 재학생과 총동창회는 물론 부산교사노동조합도 대학 통합 논의에 맞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산교사노동조합은 ‘부산교대·부산대 MOU 반대’ 성명을 내고 “구성원 합의 절차가 철저히 무시된 밀실 협약”이라고 규탄했다. 부산교사노조 측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재정 압박을 이유로 대학 통합을 추진한다는 것은 결국 경제성 논리에 따른 것”이라며 “부산대와 부산교대 통합은 결국 전문성 낮은 초등 교원 양성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교대 총동창회와 임용을 앞둔 학생들은 “대학 통합으로 교육대학의 특수성이 사라진다”며 반발한다. 부산교대 현영희 총동창회장은 “초등 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학과 종합대학인 부산대는 목적 자체가 다르다”며 “동문과 재학생들의 충분한 의견 반영마저 없었다”고 목소리 높였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