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국 꼴찌 부산 무장애환경, 선진도시 도약 급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도시 환경 분야에서 전국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이 19일 발표한 ‘부산, 무장애(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보고서에서는 부산지역 무장애 인증시설 실태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3번째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로부터 무장애 공식 인증을 받은 부산 건축물은 전체의 0.023%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시 규모와 인구를 고려하면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올해로 41번째 장애인의 날을 맞지만, 장애인에 대한 부산의 인식과 정책은 여전히 후진적이라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

부산, 오는 9월 노인 인구 20% 차지
사회적 약자 위한 도시 환경 조성 절실

특히, 부산의 공동주택 3만 7874개 가운데 무장애 인증을 받은 시설은 단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은 부끄러운 민낯이다. 하루빨리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실제로 4월 7일 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투표소를 장애인 편의시설이 없는 곳에 설치한 곳이 98곳, 승강기 없는 고층 또는 지하에 설치한 곳이 72곳이라는 보도가 나올 정도로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책은 뒤처져 있다. 무장애 환경은 모든 사람을 위한 도시 환경 개선사업이다. 국제관광도시를 지향하고, 2030국제엑스포와 같은 대형 국제행사 유치를 앞두고 있는 부산에서는 관광·교통·보행 약자 등을 위한 무장애 환경 조성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부산은 오는 9월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20% 이상으로 올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지금도 전국 특별·광역시 중에서 고령자 1인 가구 비율 등 고령자 가구 3대 지표가 가장 높아 ‘무장애 환경 조성’이 초고령 도시 부산의 정책 수립 출발점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구릉지가 많고 도로 폭이 좁아 보행 환경이 좋지 않은 부산의 특성상, 전동 휠체어와 유모차가 마음 놓고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제도와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제는 계단과 문턱 철거, 경사로 설치 등 물리적 환경의 무장애화를 넘어서서 장애인과 초고령화된 노인 인구의 사회 활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의 무장애, 차별과 편견의 개선 등으로 한발 나아가야 한다

무장애 전환은 배려가 아닌 의무라는 인식을 통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동등한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하자는 운동이다. 이들을 배려해 도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헌법에 명시된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기본 단계이다. 장애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도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사회 구성원 모두를 위해 필수적인 일이다. 이런 환경 조성이 도시의 수준과 삶의 질을 격상시킨다. 품격 있는 도시는 성장과 속도 중심보다는 친환경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면을 더욱 추구한다. 누구라도 행복하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도시 부산을 위한 부산시와 사회 구성원의 노력이 절실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