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유발 407억 ‘한국 섬 진흥원’ 유치전 점입가경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통영시가 8월 출범을 앞둔 국립 한국 섬 진흥원 유치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고등어 파시 등으로 남해안의 어업 전진기지 역할을 했던 욕지도. 부산일보DB

8월 출범을 앞둔 국립 ‘한국 섬 진흥원(이하 섬진흥원)’ 유치전이 점입가경이다. 이달로 예정된 최종 입지 발표 앞두고 출사표를 던진 지방자치단체마다 총력전에 나섰다.

섬진흥원은 행정안전부 산하 재단법인으로 준정부기관이다. 영토수호·자원·생태·문화·관광 등 모든 분야에서 섬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를 책임질 ‘컨트롤타워’다. 설립 시점인 올해 하반기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사업 진행 단계에서 생산 유발 407억 원, 부가 가치 유발 274억 원 그리고 279명의 신규 고용 효과가 기대된다.

이달 입지 선정, 8월 중 출범
통영·남해 등 8개 시·군 경합
전남 신안군 포기에 밀약설 제기
불공정 시비 등 후유증 예고

이에 경남 통영시와 남해군, 전남 목포시, 충남 보령시·홍성군, 전북 군산시, 인천 중구·옹진군 등 8개 시군이 유치를 신청했다. 1004개의 섬을 보유한 ‘천사의 섬’ 전남 신안군은 애초 신청서를 냈다가 지난달 유치를 포기하고 목포를 밀기로 했다.

남해안 한려수도의 중심에 있는 통영의 의지가 남다르다. 앞서 행안부가 제시한 입지선정 중요지표는 ‘섬의 역사성’, ‘경제 연계성’, ‘섬의 크기(수)’ 그리고 ‘섬의 유형별 조사연구 가능성’이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통영이 최적지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다. 통영은 조선 시대 경상, 전라, 충청 3개도의 수군을 통솔한 삼도수군통제영 본영이 있던 영토수호의 전진기지였다. 또 동·서·남해를 아우르는 해양 영토의 중심이어서, 흩어진 전국 섬들의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통영에는 근대 어업의 발상지인 욕지도를 비롯해 사량도, 한산도, 매물도 등 남해안을 대표하는 유명 관광 섬이 다수 존재한다. 연대도 에코아일랜드 등 섬 그린뉴딜정책의 출발이기도 하다. 보유한 섬도 유인도 43개, 무인도 527개를 합쳐 총 570개로 전남 신안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많다. 국토 균형 발전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남의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인천시의 국립해양박물관 등 바다 관련 국가 중요 연구기관이 모두 서해지역에 편중된 상황에 섬진흥원은 경남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남해군은 섬 지자체로 지정학적 조건이나 국가 균형 발전 측면에서 입지 여건이 뛰어나다고 주장한다. 목포시는 다도해 관문이자 섬진흥원 설립 최초 제안 등 섬 정책 발상지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군산시는 섬진흥원 설립에 따른 새만금 내부 개발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충남 보령시와 홍성군은 수도권과 가까운 지리적 장점, 인천 중구와 옹진군은 인천항·인천국제공항 등 교통 인프라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처럼 물밑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결정의 시간은 목전에 닿았다. 현지 실사를 마친 섬진흥원 설립준비기획단은 오는 7·8일 세종시에서 지역별 제안 설명을 듣고, 최종 심사를 진행한다. 이후 이르면 10일 전후 최종 설립지역을 발표할 예정이다.

가장 큰 변수는 정치적 고려다. 앞서 유치를 철회한 신안은 목포와 함께 유력 입지로 꼽혔다. 그런데 2019년 두 시군이 섬진흥원과 섬박물관을 나눠 유치하기로 협약을 맺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공모를 둘러싼 ‘내정설’, ‘밀약설’ 의혹은 한층 짙어지는 모양새다.

강석주 통영시장은 “섬진흥원 입지는 선정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에 건립돼야 한다.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유치에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