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안전망으로 부산 문화공간을 고민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중구 동광동에 위치한 한성1918 부산생활문화센터. 부산일보DB

문화공간별 특화 전략, 창작 앵커시설 확보, 민간 공간 지원 등 부산 문화공간의 정책 방향을 고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제1차 열린 포럼 ‘문화안전망으로서의 부산지역 문화공간’이 2일 부산 중구 동광동 한성1918 부산생활문화센터 청자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포럼은 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가 지난해 수행한 과제 ‘부산광역시 문화지표조사’와 ‘부산지역 예술창작공간의 사회적 효과성 분석 연구’를 현장에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였다.

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포럼
“향후 20년 내다보는 문화정책
안정적 예산·협의체 급선무”
거점 앵커시설 필요성도 제기

포럼에서는 우선 문화공간의 정체성 문제가 제기됐다. 정면 원도심창작공간 또따또가 운영지원센터장은 “처음에는 창작공간으로 시작했는데, 필요에 의해 이상한 기능들이 자꾸 추가된다. 그러다 보니 다양성이 사라진다”고 말했다. 정체성은 문화공간의 존속과도 연결된다. 정 센터장은 “각각의 공간을 도시 전체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향후 20년을 내다보는 문화공간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화 생산 전초기지로 기능하는 창작공간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거점 플랫폼으로 앵커시설 필요성도 제기됐다. 또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김승택 김해문화재단 문화진흥팀 차장은 “창작공간 매니저로 3년 정도 일하니 전체 흐름을 알게 되고, 5년 정도 되니 해외 네트워크가 가능해지더라”고 전했다.

공적 역할을 하는 민간 문화공간의 효과적 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올해로 개관 10주년을 맞이한 스페이스 움의 김은숙 대표는 “그동안 총 관객이 2만여 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소공연장은 업태·업종이 다양해 현재 지원정책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며 “민간에 있는 다양한 장르의 축적된 공간을 지원해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기획, 섭외, 마케팅 등 민간 문화공간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지원하면 지역 문화공간이 더 확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춰 현장에서는 “부산 내 지역별로 문화공간들의 협력 체계와 협의체 구성에 대해 고민을 해보자”는 이야기도 나왔다.

청년 예술가를 위한 공간 지원 프로젝트는 다수 존재하지만, 그곳이 내년에도 후년에도 지속할 지에 대해서는 확답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무엇보다 문화공간에 대한 안정적 예산과 지원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비영리 예술단체 레트로덕천의 오미솔 대표는 “공간이 있어야 사람들이 모이고 예술적 담론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을 말할 수 있다”며 “문화예술 공간과 준비된 프로그램 참여가 자발적이고 자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예술적 환경이 먼저 조성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금아 기자 chris@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