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 국내 최초 ‘전기선박 육상시험소’ 관련 사업 큰 호평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전기선박 육상시험소(LBTS)는 잠수함 등 전기추진 선박을 육상에서 성능을 점검하는 시험소로, 2015년 세계 세 번째로 한국전기연구원 창원본원에 구축됐다. 전기연구원 제공

경남 창원시(시장 허성무)와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직무대행 부원장 유동욱)이 국내 최초이자 세계 세 번째(미국-영국-한국)로 구축·운영 중인 ‘전기선박 육상시험소(LBTS)’ 관련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전기선박 육상시험소는 고부가 전기선박의 핵심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 지원에 필요한 기반 조성을 위해 2013년부터 추진되어 2015년 완공된 핵심 시험설비다. 경남 창원시 성주동에 위치해 있으며, 국내유일 전기전문 연구기관인 전기연구원 시스템제어연구센터(센터장 손홍관)가 운영하고 있다.

창원시와 함께 연구개발 등 추진
미래 해양 방위산업 주도적 역할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파급효과 커

전기추진 시스템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전기선박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연료비용도 저렴하다. 또한 추진 모터의 소음과 진동이 적고, 설치 위치가 자유로워 설계의 유연성이 매우 높으며, 기존의 디젤엔진 선박보다 조종 능력이 더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동안 전기선박은 잠수함과 호위함 등 함정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미국의 최신예 구축함인 ‘줌왈트(Zumwalt)’ 및 영국 항공모함인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 등 수상 전투함 분야까지 전기추진 체계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선박은 설계 과정에서 추진 시스템이 탑재된 후에는 해체와 성능 검증이 매우 어렵다. 특히나 잠수함은 바다 밑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전기추진 시스템을 선박에 탑재하기 전에 육상에서 통합시험을 확실하게 진행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결국, 세계적 수준의 전기선박 육상시험소의 보유 여부가 다가올 해양 방위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 관건인 것이다.

창원시는 이미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3년부터 경남도, 전기연구원, 방위사업청 등과 협력해 전기선박 육상시험소 건립 사업을 추진했고, 2015년 준공 결실을 맺었다. 총 사업비는 405억 원이 투입됐다.

미래를 내다 본 창원시의 투자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주관기관인 전기연구원은 지난 7년간(2013년~2020년) 전기선박 육상시험소를 기반으로 전기선박 분야와 관련한 다수의 연구개발 프로젝트(총 연구비 990억 원 규모, 25개 연구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창원시가 해양 방위산업의 중심이 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전기선박 육상시험소로 인한 파급효과는 더욱 놀랍다.

국내 최초로 독자 설계·건조한 3000t급 잠수함 ‘도산 안창호함(장보고-Ⅲ급)’을 포함한 전기선박 분야 총 401개 항목 시험을 수행해 192건의 개선보안사항을 도출했고, 이를 통한 건축기간 단축효과 368일, 건조기간 단축 및 전력화 지연손실 비용 절감 효과 4684억 원이라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또한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육상시험소를 통해 거둔 기술수입 대체효과는 370억 원에 달하고, 전기선박 관련 산업 발전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270억 규모로 추정된다. 통합 5000억 원이 넘는 효과다.

전문가들은 2033년까지 전기선박 육상시험소 관련 사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시장창출 1조 2363억 원 및 일자리 창출 3000여 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창원지역 기업들의 사업 참여에 따른 매출 기대 효과는 무려 1조 4698억 원에 달한다.

전기연구원 손홍관 시스템제어연구센터장은 “대한민국 해양 방위산업의 핵심이 될 전기선박 분야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매우 크다”며 “전기선박 육상시험소가 창원시 미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시와 전기연구원은 잠수함 및 차세대 함정 등 국방 분야를 넘어 전기추진 차도선 등 민간 여객선 분야까지 기술 개발을 확대해 미래 전기선박 시대를 주도한다는 목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