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부산울산본부] 민간 개발이 힘든 해상풍력 등 신재생 발전사업 참여 확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전북 고창군 상하면과 부안군 위도 사이에 위치한 국내 최초 해상풍력 실증단지인 60MW 규모의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전경. 인근에 400MW 규모의 시범단지가 추가로 들어설 계획이다. 한전 부산울산본부 제공

지난해 7월 송갑석 국회의원 등은 ‘전기사업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시장형 공기업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신재생 발전사업을 하는 경우에 한정해 전기사업자에게 두 종류 이상의 전기사업을 허가하는 내용이 핵심으로, 개정안은 현재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돼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12월 28일 확정·공고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년)’을 보면,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2020년 20.1GW(기가와트, 1GW는 1000MW)에서 2034년 77.8GW로 약 4배 확대하고, 같은 기간 전체 에너지 대비 신재생에너지 설비 비중 역시 15.8%에서 40.3%로 2.6배 늘릴 방침이다.

60MW 규모 서남해 실증단지 준공
제주에 100MW 풍력단지도 조성 중
투자비 절감·국민 편익 향상 기여


이같은 정책 목표를 달성하려면 추가로 57.7GW 설비 확충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신재생 발전사업은 1MW(메가와트) 이하 소규모 사업이 건수 기준으로 98.1%(2019년 말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 효과가 미미한데다 기술력 부족 등으로 인한 고비용 구조로 인한 발전원가 상승은 결국 전기요금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갈수록 규모가 커지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에너지 공기업이 진출한 덴마크의 오스테드(세계 1위 해상풍력 기업)의 사례처럼, 국내 발전사와 민간이 주도해 개발이 어려운 해상풍력 등 대규모 사업에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의 참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30일 한국전력공사 부산울산본부(본부장 한상규)에 따르면, 한전은 육상풍력사업의 경우 요르단 푸제이즈 발전소(89.1MW, 3.3MW×27기)를 단독으로 준공해 2019년 7월부터 상업운전중이며, 중국 내몽고·요녕성 등에도 1017MW(22기) 규모의 풍력단지를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운영중이다.

해상풍력의 경우 한전 주도의 SPC(특수목적법인)로 서남해 해상풍력 개발을 위해 한전과 6개 발전자회사가 설립한 한국해상풍력㈜ 주관으로 60MW 규모의 실증단지를 2020년 1월에 준공했고, 이후 시범단지를 400MW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제주 한림읍 해상에도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중이다.

특히나 해상풍력은 한전의 석션버켓, 터빈 일괄설치기술 등 자체 보유한 기술을 통해 사업기간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석션버켓 기술은 대형강관을 해저면에 거치한 후 석션펌프를 이용해 파일 내부의 물을 배출하고, 이때 발생된 파일 내외부의 수압차를 이용해 기초를 지반에 관입하는 신개념 해상풍력기초 설치기술이다.

한전이 해상풍력사업에 직접 참여할 경우 SPC 대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한전의 높은 대외 신인도를 활용해 저렴한 자금조달이 가능하기 때문. 실제로 1.5GW 규모의 신안해상풍력을 직접 추진할 경우 SPC 대비 약 1조 8000억 원 정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은 공동 접속설비 구축이 필수인데, 신안해상풍력의 경우 개별접속 대비 공동접속시 1조 5000억 원에서 8000억 원으로 약 7000억 원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게 한전의 설명이다.

한전의 신재생 발전사업 참여시 해상풍력산업 성장 견인과 인프라 확충으로 민간의 사업 참여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 및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산업 전반적인 사업 효율성 개선으로 국민 편익도 향상된다.

실제로 에넬(Enel, 이탈리아), EDF(프랑스) 등 글로벌 유틸리티들은 신재생 발전사업을 통해 연관산업 성장 견인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사업은 국가별 대표 유틸리티를 중심으로 추진중이다. 이는 GW당 건설비용 비교시 최신형 원전이 2조 7000억 원, 육상풍력은 2조 6000억 원, 해상풍력은 5조 8000억 원으로, 수 조원의 투자비가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인 만큼 자금 조달 및 사업관리 역량을 보유한 기업의 참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송현수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