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영재학교 신입생 70% ‘수도권 출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교 서열의 최정점에 있는 영재학교의 수도권 출신 신입생 편중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부산에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서울·경기 출신 신입생이 부산 출신보다 4배 이상 많아 지역 영재교육이 사실상 붕괴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국회의원과 교육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이 전국 8개 영재학교의 2021학년도 입학생 출신 중학교를 분석한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이들 8개 영재학교는 경기과학고와 광주과학고, 대구과학고, 대전과학고, 서울과학고,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부산 소재 한국과학영재학교를 말한다.

올해 입학생 출신 중학교 분석
부산 출신은 20명… 16.8% 불과

강 의원과 사교육걱정이 내 놓은 결과를 보면 올해 입학생 828명 중 서울·경기 출신 입학생이 560명으로 전체 입학생의 67.6%를 차지했다. 영재학교의 2019학년도 수도권 출신 신입생 비율은 70.1%, 2020학년도 68.5%를 기록해 수도권 출신 쏠림 현상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부산에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도 수도권 출신 신입생 편중이 심각하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부산 출신 신입생은 20명으로 16.8%에 불과하다. 반면 서울·경기 출신 신입생은 이 보다 4배 이상인 86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69.4%를 차지하고 있다.

사교육걱정이 밝힌 ‘2019 고교 유형별 사교육 실태 조사’에 따르면 영재학교를 희망하는 중3 학생 중 월평균 100만 원 이상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비율이 62.5%에 달한다. 또 300만 원 이상의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비율도 25.0%에 이를 정도다. 다시 말하면 현행 영재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초·중학생에게 매월 수백만 원대의 사교육 지출을 요구하는 비정상적인 체제라는 게 사교육걱정의 분석이다.

실제 올해 영재학교에 입학한 서울·경기 학생 중 이들 중학교가 있는 시·구 상위 10개 지역은 사교육 밀집 지역이다. 서울 강남구와 양천구, 서초구, 송파구, 노원구가 대표적이다. 교육부도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개선 방안을 발표했지만, 문제의 주요 원인인 지필고사 방식의 입학시험을 유지하고 지역인재 선발 비율을 학교 자율에 맡겨 실효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강 의원과 사교육걱정은 이 같은 영재학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영재교육 진흥법 시행령’을 개정, 진학 희망자의 전국 단위 지원이나 이중지원이 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단순 지식을 평가하는 선다형·단답형 위주의 지필고사를 폐지하고, 시·도교육청 산하에 영재발굴센터를 운영해 영재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선발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사회적 합의를 통해 영재학교가 분리 교육기관이 아닌 시·도교육청이 발굴한 영재를 위탁받아 교육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대안도 제시됐다.

황석하 기자 hsh03@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