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신용·주택담보대출 금리 ‘반등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은행에서 빌린 가계 빚이 지난달 말 1000조 원을 처음 돌파한 가운데 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까지 점점 오르고 있다. 지난해 주택 구입과 주식투자 열풍,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가계 빚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여서 앞으로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 자금 조달 비용 상승 영향
서민 대출 이자 부담 커질 전망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 11일 현재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61~3.68% 수준이다. 지난해 7월 말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2%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다. 4대 은행의 11일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52~4.04%다. 지난해 연중 저점이던 작년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27%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25일(2.34~3.95%)과 비교하면 불과 2주 만에 최저 금리가 0.18%포인트 더 올랐다.

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은행채 금리 상승 등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이 늘었고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규제로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깎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대출 금리는 앞으로도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회복과 물가 반등으로 시장금리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출 금리 오름세는 새로 돈을 빌리는 사람뿐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들에게도 부담을 준다. 기존 신용대출자도 3개월, 6개월마다 오른 금리를 적용받는 변동 금리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편 은행에서 빌린 가계의 빚 규모는 빠른 속도로 늘어 이미 1000조 원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03조 1000억 원으로 집계돼 처음 1000조 원을 넘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33조 3000억 원이었고,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 잔액은 268조 9000억 원이었다.

지난 한 해 동안만 가계대출이 100조 원 넘게 불었다. 한은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88조 9000억 원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100조 5000억 원 늘어났다. 2004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증가폭이다. 주택담보대출은 68조 3000억 원, 기타대출은 32조 4000억 원이 각각 늘었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생활 자금 수요와 부동산·주식 투자를 위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수요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은행 가계 빚이 이미 1000조 원을 넘었지만 코로나19 등으로 유동성 공급을 계속하고 있고 대출 수요도 있기 때문에 가계부채 규모가 지속해서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장기금리 상승 등으로 대출금리가 계속 오른다면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타깃을 둔 정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황상욱 기자 eyes@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