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앗아 간 ‘애도의 시간’ 찾아드립니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애도 프로젝트 ‘늦은 배웅’의 박혜수(위) 설치미술가와 고독사를 주제로 한 박 작가의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후손들에게’. 박혜수 제공

“임종을 못 본 것도 한이 되는데, 코로나로 사망하셨다는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도 못하죠.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생각했습니다.”

설치미술가 박혜수는 코로나19로 상처를 입은 사회, 그중에서도 코로나 사망자의 유족이 눈에 밟혔다. 사랑하는 가족이 떠나는 마지막 모습을 보지 못하고, 부고를 알리지도 못하고, 장례식도 제대로 치르지 못하는 사람들. 감염병 때문에 이별을 슬퍼하고, 그 슬픔을 위로받는 ‘애도의 시간’마저 빼앗긴 사람들.

박혜수 작가-부산일보사 협력
코로나 사망자 애도 ‘늦은 배웅’
감염병 탓에 못 전한 사연 모아
시립미술관에 위로 공간 조성
4월 23일까지 온오프라인 접수

이들을 위로하기 위해 박혜수 작가가 부산일보, 부산시립미술관과 함께 코로나 사망자 애도 프로젝트 ‘늦은 배웅’에 나섰다(부산일보 3월 4일 자 1면 보도). ‘늦은 배웅’은 코로나로 사망한 가족, 친구에게 보내는 마지막 인사나 고인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담긴 사연을 모아서 함께 애도하는 공간을 만드는 작업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사망하면 ‘선(先) 화장, 후(後) 장례’를 치르게 된다. 바이러스 전파 방지를 위해 염습도 입관식도 생략된다. 마지막에 입은 옷 그대로, 일반 화장이 끝난 뒤 늦은 시간대에 화장을 마치고 나면 유골함이 유족에게 전달된다. 그때서야 유족은 고인을 대면하게 된다. 박 작가는 “심지어 화장이 다 끝난 다음에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들은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 사망자 유족은 고인을 외롭게 보냈다는 미안함, 장례 등 사망과 관련된 의식을 제대로 치르지 못했다는 죄책감 등 애도 과정에 있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다. 또 감염병 발생과 치료 과정에 대한 원망이나 억울함, 주변의 배타적 태도와 불편한 시선으로 인해 고립감을 느끼기도 한다.

“감염병 사망자 유족의 트라우마가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코로나 사망자 유족을 대하는 태도가 ‘존재하지 않는 사람’을 대하는 듯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박 작가는 코로나 사망자 유족이 소리 없이 흘리는 눈물을 외면한 채 회복이나 일상의 정상화를 이야기하는 상황이 불편했다.

3월 7일 0시 기준 코로나 누적 사망자 1634명.

박 작가는 이 숫자가 가진 의미, 그 숫자 뒤에 숨은 사람을 생각하는 사회가 되기를 바랐다. 그는 코로나 사망자 유족을 “감염병에 가족을 잃은 사람이 아니라 ‘가족을 잃은 사람’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위로와 애도가 생략된 채 숨죽이며 오늘을 사는 유족들에게 고인을 애도하고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고 싶었다.

코로나 사망자 애도 프로젝트 ‘늦은 배웅’은 ‘○○○번 확진자의 사망’이 아닌 ‘사랑했던 ○○○와의 이별’로 고인을 기억하기 위한 작업이다. 여기에 더해 박 작가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격리로 안타까운 이별을 한 다른 질환 사망자의 유가족, 지인의 사연도 함께 접수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마치 잡초의 뿌리를 제대로 뽑아내지 않은 것처럼 사건의 후유증이 오래간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글을 소개하며 박 작가는 애도의 중요성을 이야기했다. “슬픔과 아픔을 감추고 애쓰는 유족들에게 가족에 대한 추억을 함께 기억하는 시간을 주는 것, 이것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닐까요?”

코로나 사망자 애도 프로젝트 ‘늦은 배웅’에는 온라인 설문(https://forms.gle/BAsuAZ3AkfGejHyk7) 또는 손편지(보낼 곳:부산 해운대구 APEC로 58 부산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 김민정 코디네이터)로 참여할 수 있다. 1차 접수 기간은 4월 23일까지이다. 접수된 유족과 친구 등 지인의 사연은 박 작가의 설치미술 작품의 일부로 부산시립미술관에서 4월 23일부터 9월 12일까지 개최되는 ‘이토록 아름다운’전에 전시된다. 또 <부산일보>를 통해 소개해 사회가 함께 ‘늦은 배웅’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문의 051-740-4256 (부산시립미술관) 또는 soobox@gmail.com(박혜수 작가).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