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고성 양촌·용정지구, 투자협약 또 파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속보=기사회생하는 듯했던 경남 고성군 조선해양산업특구(조선특구) 프로젝트(부산일보 2019년 2월 14일 자 13면 보도 등)가 다시 안갯속이다. 지난해 경남도와 고성군이 애물단지가 된 조선특구인 양촌·용정지구 조성을 책임질 대체 사업자와 투자협약까지 체결했지만, 자금력이 부족해 사실상 퇴출됐다. 현재 또 다른 후속 사업자와 물밑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조선 업황 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데다 코로나19 악재까지 겹치면서 이마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경남중공업, 특구 투자협약 포기
2007년 지정 이후 세 번째 ‘실패’
고성군, 후속 사업자 타진 준비
조선업계 불황·코로나19 ‘악재’ 

경남 고성군 조선특구 내 양촌·용정지구 모습.  부산일보DB

10일 고성군에 따르면 양촌·용정지구 내 용지 일부를 보유한 BNK부산은행이 최근 제3의 민간사업자와 용지매각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 사업자는 지난해 투자협약 당시, 우선 순위였던 경남중공업에 이어 2순위로 참여했던 기업이다. 고성군도 조만간 이 사업자와 만나 기업 재무 상태, 추진 계획 등을 토대로 정상화 가능성을 점검해 보기로 했다.



고성군 관계자는 “부산은행 소유 용지 매입이 선결돼야 한다. 이후 특구 개발권을 쥔 삼호조선해양이 보유한 주식 양·수도까지 마무리해야 사업자 지위를 갖게 된다”면서 “미팅을 통해 이야기를 들어 본 뒤 지원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고성 조선특구는 동해면 일대 388만 4176㎡에 조선기자재, 해양플랜트 특화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07년 처음 지정됐다. 이를 내산(22만 3318㎡), 장좌(50만 7901㎡), 양촌·용정지구(192만 492㎡) 등 3개 구역으로 나누고 삼강특수공업, 혁신기업, 삼호조선해양이 민간사업자로 참여해 6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 중 내산, 장좌 2개 지구는 일찌감치 용지 조성이 끝나 업체들이 입주했다. 그런데 가장 규모가 큰 양촌·용정지구가 공정률 5%에서 멈춰 버렸다. 조선경기 장기 침체로 시작도 못 한 채 2년여를 허비하다 2009년 어렵사리 첫 삽을 떴지만, 모기업 부도로 중단됐다.

이 과정에 삼호조선에 대출을 실행했던 부산은행이 대출 회수가 어려워지자 2013년 경매를 통해 삼호조선이 보유한 특구 내 55만㎡ 용지를 낙찰받았다. 사업 대상지 육지부의 70%에 해당하는 부지다. 부산은행은 이를 다시 매각해 손실을 충당하려 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이후 고성군은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 승인을 받아 특구 지정 기한을 2022년 말까지로 연장하고 조성 면적도 확대했다. 여기에 입주 대상 업종에 ‘선박개조·수리 산업’을 추가해 활용도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조선특구는 관련 법상 기한 내 공정률이 50%를 넘지 못하면 지정이 해제되기 때문이다. 해제 시 용지 조성에 따른 각종 인허가 편의와 특례도 사라진다.

다행히 2018년 10월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경남도 투자유치 설명회에서 대체 사업자가 등장했다. 경남중공업이다. 경남도와 고성군은 이 자리에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경남중공업은 2022년까지 4300억 원을 투자해 양촌·용정지구를 선박개조수리 전문단지로 조성해 2500여 명을 고용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어 삼호조선해양과 주식 전량에 대한 ‘양·수도 계약’을 체결한 경남중공업은 부산은행과 부분 용지 매입 협상에 돌입했다. 하지만 자금 동원력이 부족해 12억 원 상당의 계약금 조차 예치하지 못했고 결국, 계약을 포기했다. 경남도와 고성군도 정상 추진이 어렵다고 판단해 3자 협약을 파기했다.

고성군 관계자는 “자금력이 관건이다. 경기가 어려운 만큼 견실한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이 아니면 정상화하는 게 쉽지 않다”면서 “시행착오가 반복되지 않도록 꼼꼼히 따져 후속 사업자를 찾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