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부산 시민이 행복한 스마트시티를 바라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여원찬 한국국토정보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장

현재 대한민국에는 디지털트윈으로 대표되는 스마트시티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첨단기술을 이용해 주요 도시의 공공기능을 네트워크화 한 '똑똑한 도시'를 의미한다. 시스템을 통해 도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미래형 도시로서, 2020년 세계 스마트시티 관련 시장 규모가 1.5조 달러에 달하며 향후 20~30년간 지속 성장이 전망된다.

우리나라에 스마트시티에 관한 관심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0년대 초반 스마트시티의 전신인 '유비쿼터스 시티(U-City)' 구축 때도 지금과 같았다. 하지만 유시티는 대부분 공급자 위주의 시스템이었고, 시민의 활용도도 높지 않았다. 설문조사와 공청회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려고 했지만, 실제 반영된 것은 별로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 모델이 북유럽에서의 수요자 중심 모델이다. 이 모델은 시민의 참여에 바탕을 두고 교통과 에너지, 환경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다. 2009년부터 정부는 물론 기업과 학교,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는 오픈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수용해 신산업 발굴과 일자리 창출 등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스마트 미터기와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직접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고 에너지 교육과 토론을 통해 에너지 절감에 성공한 '지속가능한 이웃' 프로젝트가 있다.

국내에서도 시민과 함께 스마트시티를 만들어가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전주시와 지난 8월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양 기관의 데이터와 기술을 공유해 시민 참여형 스마트시티 구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그 연장선상으로 12일 LX공사에서 전주시 스마트시티 디지털허브 구축을 위한 컨퍼런스를 개최해 착수보고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더 나아가 LX공사는 지역 관·산·학·연과 시민단체가 결합된 협의체를 결성해 지역 도시문제 발굴과 해결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 디지털트윈 구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부산시는 올 11월 도시문제의 효율적인 해결,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부산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부산 스마트시티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그런데 향후 5년간 1조 5178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 속에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사업인 개방형 혁신 플랫폼 및 리빙랩 구현에 투입되는 예산은 약 0.2%(25억 원)만이 배정돼 있어 시민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시민이 행복한 스마트시티 구현에 필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각종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에서 거주하는 시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교통, 에너지, 복지, 환경 등 공공에서 생산·관리되는 다양한 행정데이터, 민간 데이터의 디지털화 및 공간정보 전환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항만도시라는 특색에 맞춰 스마트 가로등, 선박, 열차, 교각, 도로 등을 통합해 교통 흐름을 통합 관제하는 지능형 교통관리, 레이더와 센서를 활용해 물류선의 입·출선 관제 및 공사현장, 선박의 위치, 수위 등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구축 등 스마트 서비스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도시 문제해결을 위한 스마트시티 구축은 그리 먼 미래가 아닌 듯하다. 국민의 입장에서 안전과 행복을 최우선에 놓고 구축하는 스마트시티 모델은 당연히 가야할 길이라고 본다. 같은 고민을 가진 많은 전문가들과 소통으로 보다 나은 부산 시민의 삶을 위해 스마트시티 모델 구축에 많은 기대와 성원을 보낸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