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산 시민의 30년 '맑은 물' 갈증 해소시키겠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수질 개선을 포함한 '낙동강 식수 종합대책'을 내년까지 확정하겠습니다."

28일 '부산 먹는물 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부산시당 위원장은 "부산에 맑은 물 공급에 대한 정부 의지는 분명하다"면서 "물관리 일원화 등 선결 과제가 해결되면서 십수 년째 지지부진한 광역상수도 사업 등 낙동강 식수 종합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낙동강수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1년째 계류 중이다. 물이용부담금 사용 용도 확대, 수질오염총량제 기준항목 추가,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기능 강화 등 부산지역에서 꼭 필요한 내용들이 담겼지만, 지역 간 이해관계 차이로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산단 개발을 추진해 온 대구·경북 등이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 위원장은 지역 갈등 해소를 위해 출범할 '낙동강 유역물관리위원회' 역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오염물질 배출 공장이 상류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제재하는 데도 한계가 있는 등 법안 개정이 시급하다"면서 "올 지방선거 이후 부·울·경 단체장이 수질 개선과 유량 확보를 위해 '상생 협약'을 체결했듯이, 낙동강 전 유역이 뜻을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부산 물공급 문제가 '갈등 관리 과제'에서 제외된 것을 지적하고, 국무조정실에 지자체간 갈등조정 역할을 하도록 주문하기도 했다. 또 앞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2022년까지 폐수방류량 30% 감축 △산단 폐수 전량 재이용 등의 정책이 조기에 시행되도록 힘쓸 계획이다.

전 위원장은 수질 개선과 직결된 낙동강하굿둑 상시 개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본다. 특히 지금이 '맑은물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한다.

"올해 낙동강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급증하는 등 시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개방을 서둘러야 합니다. 지난 30년간 대체 상수원 개발 정책이 진전되지 못한 것은 정치권 책임도 큽니다. 정부 차원의 통합물관리 체계 기반이 마련되고, 부산시도 전담 조직을 꾸리는 등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도록 힘쓰겠습니다."

이승훈 기자 lee88@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