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산 시민의 30년 '맑은 물' 갈증 해소시키겠다"

"수질 개선을 포함한 '낙동강 식수 종합대책'을 내년까지 확정하겠습니다."
28일 '부산 먹는물 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부산시당 위원장은 "부산에 맑은 물 공급에 대한 정부 의지는 분명하다"면서 "물관리 일원화 등 선결 과제가 해결되면서 십수 년째 지지부진한 광역상수도 사업 등 낙동강 식수 종합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낙동강수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1년째 계류 중이다. 물이용부담금 사용 용도 확대, 수질오염총량제 기준항목 추가,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기능 강화 등 부산지역에서 꼭 필요한 내용들이 담겼지만, 지역 간 이해관계 차이로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산단 개발을 추진해 온 대구·경북 등이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 위원장은 지역 갈등 해소를 위해 출범할 '낙동강 유역물관리위원회' 역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오염물질 배출 공장이 상류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제재하는 데도 한계가 있는 등 법안 개정이 시급하다"면서 "올 지방선거 이후 부·울·경 단체장이 수질 개선과 유량 확보를 위해 '상생 협약'을 체결했듯이, 낙동강 전 유역이 뜻을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부산 물공급 문제가 '갈등 관리 과제'에서 제외된 것을 지적하고, 국무조정실에 지자체간 갈등조정 역할을 하도록 주문하기도 했다. 또 앞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2022년까지 폐수방류량 30% 감축 △산단 폐수 전량 재이용 등의 정책이 조기에 시행되도록 힘쓸 계획이다.
전 위원장은 수질 개선과 직결된 낙동강하굿둑 상시 개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본다. 특히 지금이 '맑은물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한다.
"올해 낙동강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급증하는 등 시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개방을 서둘러야 합니다. 지난 30년간 대체 상수원 개발 정책이 진전되지 못한 것은 정치권 책임도 큽니다. 정부 차원의 통합물관리 체계 기반이 마련되고, 부산시도 전담 조직을 꾸리는 등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도록 힘쓰겠습니다."
이승훈 기자 lee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