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락호락'하지 않았던 조선 시대 '썰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조선, 철학의 왕국/이경구

호론의 거두인 한원진·권상하, 호락 논쟁의 뿌리 송시열, 낙론의 핵심 인물인 김창흡·이재 초상화(왼쪽부터). 푸른역사 제공

조선시대 '철학 논쟁'은 일반인들에게 낯선 주제이다. 중고교 시절 '국사(國史)' 시간에 퇴계 이황, 율곡 이이가 주역인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공부한 정도가 대부분일 것이다. 17세기 중후반 서인과 남인이 왕실의 복제(服制)를 놓고 두 차례에 걸쳐 벌였던 '예송(禮訟) 논쟁'까지 안다면 한국사에 상당한 '내공'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을 것이다.

18세기 조선의 '호락 논쟁' 다뤄
조선 대유학자 우암 송시열 제자
충청도 권상하, 서울 김창협 주축
호론과 낙론으로 나뉘어 논쟁
발단·경과·역사적 의의 등 소개

유학자 초상화·유적지·회화 등
곁들여 '보는 재미' 더하기도

<조선, 철학의 왕국>은 18세기 조선에서 벌어졌던 '호락(湖洛) 논쟁'을 다룬다. 생소하게 들리지만 앞서 언급한 두 논쟁과 함께 '조선의 3대 철학 논쟁'으로 불릴 만큼 파장이 큰 사안이었다. 충청도의 노론(老論) 학자들을 지칭하는 호론(湖論)과 서울의 노론 학자를 뜻하는 낙론(洛論) 사이의 논쟁이었다. 당대에는 '호락시비(湖洛是非)' '호락변(湖洛辨)' 등으로 불린 이 논쟁은 학자들은 물론 국왕과 정치인, 남인과 소론 학자, 때로는 중인까지 왕성하게 논쟁에 참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락 논쟁은 '주자학의 나라' 조선이 전환기에 접어든 18세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나름 도시화, 물질화, 세속화가 진전된 때였다. 자연스레 양반,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고 보았던 중인과 서인, 여성 등의 역량도 신장됐다. 대외적으로는 '오랑캐'로 멸시했던 청(淸)나라가 융성해지면서 화이(華夷)질서가 근저에서부터 흔들렸던 시기이기도 하다.

조선의 선비들은 이러한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주자학적 질서와 명분으로 조선의 재건과 동아시아의 변화에 적응하려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철학적 논쟁을 계승하면서도 '마음(心)'과 '타자(他者)', '사람 일반'에 대한 규정 등 좀 더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주제를 놓고 벌인 것이 호락 논쟁이다. 18세기 초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이어졌던 이 논쟁의 뿌리는 조선의 대유학자 우암 송시열(1607~1689)이다. 서인(西人)의 대표 이론가였던 송시열은 많은 제자를 뒀는데 충청도의 권상하와 서울의 김창협이 가장 빼어났다. 권상하의 제자들은 성리학의 몇몇 주제를 두고 논쟁을 벌이면서 호론을 형성했고, 김창협과 동생 김창흡을 따르는 선비들은 비슷한 경로를 거쳐 낙론을 형성했다.

같은 뿌리를 가진 호론과 낙론의 주장이 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책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충청도와 서울이라는 지역의 차이를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상대적으로 변화가 더디고 보수적인 지방을 중심지로 한 호론과 첨단 문화와 정보가 결집되고 변화가 빠른 서울은 다를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얘기. 호론은 상대적으로 이이-송시열로 이어지는 학문과 정신을 공고히 지킨 반면 낙론은 다양한 학파와도 교류하고 여러 학설에 관심을 기울였다.

호락 논쟁의 핵심 주제는 세 가지였다. '미발 때의 마음의 본질(未發心體)'과 '인성과 물성의 차이 여부(人物性同異)', 그리고 '성인과 범인의 마음이 같은지 여부(聖凡心同異)' 등이다. '미발지심(未發之心)'의 줄임말인 미발은 감각이나 지각 등이 발(發)하기 전의 고요한 마음이다. 마음의 정체는 인간의 최종 관문과도 같은 것인 만큼 미발은 현실에서의 수양에 초점이 맞춰진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인성물성' 논쟁은 인간의 본성과 물(物, 사물 혹은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 하는 문제이다. '타자에 대한 인정'과 관련된다 할 수 있다. 당시 가장 위협적인 타자는 청나라였던 만큼 이 문제는 청인(淸人)의 보편 본성에 대한 인정 여부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성범심' 논쟁은 평범한 사람 중에서 그동안 열등하다고 간주한 여성과 백성, 아이 등에 대한 긍정 여부로 확대된다. 결국 호락 논쟁의 주요 주제들은 바깥에서 성장한 청나라와 안에서 성장한 제반 계층에 대한 유학자들의 인식과 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책은 호락 논쟁의 발단과 경과, 결론과 역사적 의의 등을 독특한 구성으로 소개한다. 논쟁에 대한 나름의 평가도 내린다. 지은이는 "낙론은 유연함을 지녔지만, 세파를 따르고 명분을 이용하다 스스로 소멸했다. 호론은 차별주의에 사로잡혔지만, 적어도 이중적으로 처신하지는 않았다"고 정리한다. 호론에 대한 추가 언급이 인상적이다. "명분을 체화한 호론의 생존은 보수의 생명력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를 보여준다. 비록 시의에 뒤떨어질지라도 언행이 일치했던 그들은 보수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책은 철학적 다툼이 조선의 정치·경제·사회 흐름의 숨은 추동력으로 어떻게 작동했는가를 연대별, 사건별로 알기 쉽게 보여준다. 조선 후기 역사를 당파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아닌 사상을 중심으로 풀어내려는 노력이 돋보인다. 이론만 잔뜩 널어놓는 전형적인 '철학사'의 틀에서 벗어나 시대상에 대한 서사(敍事)를 입히고 논쟁의 핵심을 이룬 유학자들의 초상화와 유적지, 회화 자료도 다양하게 곁들여 '보는 재미'를 더한 것도 미덕으로 꼽을 수 있다.

책은 호락 논쟁에서 다뤘던 주제가 오늘날에도 유의미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가령, 타자와의 관계를 따지는 '인성물성' 논쟁의 경우 앞으로 인류가 로봇이나 인공지능(AI), 심지어 외계 존재와 같은 새로운 타자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려 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경구 지음/푸른역사/384쪽/2만 원.

박진홍 선임기자 jhp@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