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원전해체硏, 사용후 핵연료 취급 안 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년에 입지가 결정되는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가 사용후 핵연료 등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다루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원전해체연구소의 위험성 논란이 대부분 해소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와 부산시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회에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추진 현황을 보고하면서 사용후 핵연료는 원전해체연구소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라는 방침을 밝혔다. 국회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산업부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일체 건드리지 않겠다는 방침을 설명했다"면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철저하게 산업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기관으로 만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 국회에 경과 보고
고준위 방폐물 제외 방침
기장군 등 유치 치열할 듯


원전해체연구소는 박근혜정부에서 미래부가 중심이 돼 설립을 추진했으나 산업계의 참여 부족 등 경제성 문제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산업부는 원천기술개발보다는 이미 검증된 기술의 적용에 중점을 두고 산업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관으로 원전해체연구소를 만든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는 특히 연구소의 설립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비영리 공익법인 형태로 설립을 하고 해체기술을 실제로 사용하게 될 한국수력원자력이 이를 주도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원전해체연구소의 인력은 80명으로 시작해 120여 명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설립비용은 약 2400억 원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연구소 설립 예산을 한수원과 정부, 유치 지자체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소의 주요 시설로는 원전해체 기술 실증·인증시설과 방사성 폐기물 시험시설, 모의훈련시설 등이 포함된다.

현재 원전해체연구소 유치경쟁에 뛰어든 지자체는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 경북 경주시 등이 있다. 정부는 유치경쟁이 과열될 경우 지역갈등의 소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입지를 선정하겠다는 입장이다.2020년 연구소 설립 준비에 들어가 2021년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