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오페라하우스 결국 짓는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페라하우스 조감도.부산일보DB

건립 중단여부를 놓고 뜨거운 논란에 휩싸였던 북항 오페라하우스가 결국 짓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7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북항 오페라하우스를 '문화집적지구'라는 큰 틀 안에서 추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7월 말 공사가 전면 중단된 지 두 달여 만이다.

市, 국제아트센터 북항 건설
'문화지구'로 묶어 국비 확보 

국공유지, 도시공원 재지정 
공원일몰 대상지 97% 보존 

해수담수 시설 산업용으로 
BRT, 공론화위 10일 결론

시는 오페라하우스 추진방안으로 부산시민공원에 짓기로 한 부산국제아트센터를 오페라하우스와 가까운 북항 재개발지역 내에 짓는 방안을 병행키로 했다. 이와 함께 인근에는 국립영화박물관 유치도 추진된다.

이 같은 틀을 기본으로 시는 인근 부산시민회관과 문현금융단지 내 뮤지컬전용극장 등을 엮어 이 일대를 문화집적지구로 지정할 방침이다. 개별 문화 인프라 구축 사업의 틀을 키워 국비 지원을 끌어낸다는 복안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미온적이던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제아트센터 국비 지원을 확대하는 데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면서 "최대 24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페라하우스 운영비 지원도 같은 논리 안에서 끌어내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항 내에 국제아트센터가 들어설 공간 마련과 오페라하우스 운영비 등의 국비 지원 등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는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시는 북항 오페라하우스 외에 공원일몰제, 해수담수화, 버스중앙차로제(BRT) 등 난제 사업들에 대해서도 잇따라 해법 제시에 나서고 있다.

천문학적 예산이 필요해 난항을 겪던 공원일몰제에 대한 대비책은 부산지역 공원·유원지·녹지(90개소·5760만㎡) 대부분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마련됐다.

이를 위해 시는 전제 공원일몰 대상지의 47%에 달하는 국공유지를 정부와 협의를 통해 도시공원으로 재지정한다. 국토부가 국공유지까지 공원일몰 대상지에 포함시킨 데 따른 조치다. 일몰 대상지의 12%에 달하는 곳은 개발제한구역이나 보전녹지로 묶여 있어 공원 용도가 해제되더라도 훼손 우려가 없다고 보고 있다. 온천, 덕천, 명장, 동래사적, 사상, 대연공원 등 전체 일몰 대상의 6%는 민간공원조성특례사업을 통해 보존한다. 또, 2020년까지 지방채와 자체 예산 4400억 원을 확보해 보존 가치가 높은 일몰 대상지 4%가량은 매입할 예정이다. 이런 방식으로 부산시는 전체 일몰 대상지 97%를 보존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올 1월 중단된 해수담수화 시설은 시민들에게 용수를 공급하지 않고 대신 산업용으로 시설의 일부만 가동키로 방향을 잡았다. 부산시 관계자는 "산업용수의 수요가 적긴 하지만, 발전과 수소생산 등 다양한 수요를 개발한다면 연구용 실증 시설 가동이라는 원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BRT 정책과 관련해서는 '시민공론화위원회'가 오는 10일 부산시에 최종 결론을 전달할 예정이다. BRT시민공론화위는 지난 5, 6일 1박2일의 학습·숙의 과정을 거치고 내부적으로 최종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진국 기자 gook72@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