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장 면세점 '김해공항 패싱' 논란] '하세월 신공항' 지어질 때까지 김해만 기다려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공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김해공항의 입국장 면세점 설치가 불투명해지며 지역 여론이 싸늘하다. 사진은 김해공항 출국장 면세점. 부산일보 DB

정부의 공식 해명에도 불구하고 '김해공항 입국장 면세점 제외'(본보 28일 자 1면 보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해신공항 건설 이전까지 입국장 면세점을 설치하지 않겠다'는 한국공항공사의 입장이 공식 확인됐기 때문이다.

정부 "인천 시범운영 후 전국 확대,
김해도 대상에 포함" 해명했지만

'김해는 신공항 건설 때 함께 설치'
공항공사 검토 자료 드러나며 논란

김해신공항 2026년 완공 불투명
면세점도 함께 '지지부진' 우려

국내 제2관문공항이 될 김해공항이 승객 편의와 공항 위상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입국장 면세점 설치 기회를 공항공사(부산지역본부) 측이 너무 쉽게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8일 보도해명자료를 내고 "입국장 면세점은 인천공항에서 시범운영 및 평가(6개월) 후 전국 주요 공항 등에 확대를 추진할 예정으로, '확대 설치 추진 대상에서 김해공항이 제외되었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진승하 기재부 관세제도과장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관세법상 외국 무역선·항공기가 드나드는 항만·공항은 입국장 면세점이 들어설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인천과 김포, 김해, 제주, 청주, 대구, 양양공항 모두가 검토 대상"이라며 "공항공사가 수요 등을 파악해 입국장 면세점을 신청하면 관세청에서 검토해 허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3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부산 북·강서을)이 공항공사로부터 확보한 '김해공항 입국장 면세점 관련 검토 의견' 자료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김해공항은 현재 피크시간대 수하물 수취대, 동식물검역대 혼잡 및 여객 대기 공간 부족 등 입국장 지역이 혼잡·협소해 면세점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곤란하여 향후 김해신공항 건설 시 입국장 면세점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검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항공사의 주장대로라면 김해공항은 오는 2026년에도 입국장 면세점 설치가 사실상 불투명하다. 정부는 2026년 개항을 목표로 김해신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부산시는 정부·여당과 엇박자를 내며 김해신공항 건설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실제 언제 첫 삽을 뜰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자 공항공사 관계자는 "억지로 입국장 내 공간을 마련할 수는 있겠지만, 혼잡 탓에 기존 승객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며 "인천공항 시범운영의 장단점도 살핀 뒤, 추후 신청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입국장 면세점은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의지를 보이는 사안인 데다 충분한 수요도 확보된 만큼 제2관문공항으로서 위상에 걸맞게 김해공항에도 도입을 적극 추진한 뒤, 사후 대책을 모색해야 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청사 확장 없이 내부 개조만으론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한계는 있어 보이지만, 섣불리 판단한 측면이 있다"며 "현재 수요 수준이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고, 2단계 확장 돌입 등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도입을 우선 신청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김도읍 의원은 '공간 확보 곤란'으로 신공항 건설 이후에나 입국장 면세점을 설치하겠다는 공항공사의 '검토의견'에 대해 "김해공항 여객터미널이 포화 상태에 이르도록 시설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공항공사가 김해공항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도 이를 김해공항이 아닌 다른 지역에 퍼주었기 때문"이라며 "공항공사의 이율배반적 행태가 부산시민의 공항이용 편의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어 "김해공항 활성화에 대해 전혀 의지가 없는 공항공사와 정부,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되기까지 수수방관하고 있던 부산시는 이번 사태에 대해 깊이 반성해야 한다"며 "김해신공항 건설 이전이라도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을 통해 입국장 면세점을 도입시킬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송현수·김종우·이승훈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