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항 통합 운영, 고용 보장하며 추진돼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사 수는 줄이고 규모는 키운다고 한다. 부산항을 현재의 '다수 소형 터미널 체계'에서 '대형 터미널 체계'로 재편한다는 뜻이다. 부산항은 1978년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을 개장한 이래 세계 6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세계 2위 환적항만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환적물동량 증가율이 2011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며 한계에 도달한 게 사실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항만의 견제까지 받아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부산항이 '싸구려 항만'에 머물지 않고 새롭게 질적으로 도약하려면 대형화를 통한 혁신은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총 8개에 달하는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를 2021년 말까지 5~6개로 통합시킨다고 한다. 그동안 부산항은 소규모 터미널로 분산되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터미널이 작아서 물량이 분산되고, 타 부두 환적 화물의 육상 운송을 위한 추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해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반면에 라이벌인 상하이, 싱가포르, 두바이 등 세계 주요 항만은 대형화되어 있다. 항만산업과 긴밀히 연결된 해운산업까지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해 대형화되는 추세다.

부산항 터미널 통합 운영은 방향을 맞게 잡았다. 부산항이 지금이라도 대형 터미널 체계를 갖추고 통합 운영되면 항만 효율성이 개선되어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체제에서 수익을 보고 있는 운영사들을 설득할 대책을 세밀하게 세워야 한다. 지분 매매나 부두 위치를 맞바꾸는 스와핑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인력 운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정부가 터미널 운영사 체계 개편과정에서 일자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점은 다행스럽다. 항만 자동화 바람은 노동자 수를 빠르게 줄여 가고 있기에 늘 불안한 게 사실이다. 고용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부산항이 이번 기회에 하역료 현실화와 노동자 처우 개선이라는 체질 개선까지 이뤄 선진국형의 세계적인 물류 허브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