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2주년 특집-72번길에서 만난 사람들] "낮은 곳, 작은 목소리 계속 귀담아 주세요"
부산일보의 모든 이야기는 길 위에서 시작한다. 72년간 기자들이 길 위에서 보고 들은 무수히 많은 이야기는 부산일보의 역사이자, 부산의 역사가 됐다. 본보는 창간 72주년을 맞아 부산의 72번길 위에서 이야기를 듣고, '부산일보가 가야 할 길'을 물었다. 72번길에서 만난 이들은 "72년간 해온 것처럼 앞으로도 낮고, 작은 목소리에 더 귀 기울여 줄 것"을 주문했다.
사상구 덕상로 '부산점자도서관' "부산일보가 장애인 인식 개선 앞장서 주길"
대중교통으로 부산 사상구 덕상로72번길을 가기 위해선 도시철도 2호선 모덕역 2번 출구로 나와 공장지대를 지나고 철길 굴다리를 건너 비탈길을 올라야 한다. 그렇게 도착한 곳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부산점자도서관'이 있다. 비장애인도 쉽게 오가기 힘든 이곳으로 1급 시각장애인 안익태(48) 씨는 매일같이 출근한다. 도서관 사무국장을 맡은 안 씨는 "근무한 지 8년이 지났지만 혼자 다니기엔 위험해 비장애인 직원과 함께 다닌다"며 멋쩍게 웃어 보였다.
자립 생활을 하는 시각장애인이라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이곳을 찾아오기란 '위험한 도전'과도 같다. 공장 앞에 무질서하게 놓인 불법 주정차 차량과 도로 위를 오가는 지게차, 공장의 기계음들은 주변 지형지물과 청각에 의존해 길을 찾는 시각장애인들이 방향 감각을 잃게 한다. 몇 년을 오가더라도 시각장애인에게 이 길은 낯선 셈이다.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철도 역에서 도서관까지 셔틀버스를 제공하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되지 못하고 있다. 그 탓에 올 상반기 온·오프라인 이용객은 163만 명인 데 반해, 방문객은 하루 평균 10명 안팎에 그친다. 이용객 대부분은 우편 서비스를 이용해 책이나 자료를 받아보는 실정이다.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고, 책을 더 많이 보관할 수 있는 넓은 곳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요구도 잇따른다. 독립된 점자도서관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현재 사상도서관과 붙어 있다 보니 시각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하는 '차임벨'이 시끄럽다는 민원이 종종 제기된다. 음악 관련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려 해도 도서관 휴관일에 맞춰 해야 한다는 한계가 따르는 실정이다. 안 씨는 "사상구 덕포동에 생길 부산도서관으로 점자도서관을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해 봤지만,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안 씨는 부산의 정책들이 점점 좋아지지만, 좀 더 섬세한 부분에서 장애인을 배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안 씨는 "사회 참여를 원하는 시각장애인이 많은데 부산시의회에서 발간하는 소식지는 시각장애인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여전히 공공기관의 장애인 인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면서 "늘 그래왔듯이 부산일보가 이런 인식 개선에 앞장서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부산진구 안창로 '안창마을' "경로당 사각지대 사연 더 다뤄 줬으면"
![]() |
안창마을 주민들이 부산 부산진구 안창로72번길 안창마을 통합회관에서 활짝 웃고 있다. 서유리 기자 |
![]() |
박상민(왼쪽) 할아버지와 이명애 사회복지사가 부산 금정구 수림로 72번길 구서1동 주민센터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서유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