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환자, 삼성서울병원 경유해 서울대병원서 치료…"접촉자 격리조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3년여만에 발생한 8일 저녁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감염자 상황 및 관련 대책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삼성서울병원을 경유한 뒤 서울대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8일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환자로 확진한 서울 거주 A(61)씨는 귀국 직후 삼성서울병원을 경유했다가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해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현재 접촉자들을 격리조치하고 추가 감염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앞서 A씨는 지난 8월 16일부터 9월 6일까지 업무차 쿠웨이트로 출장을 갔다가 지난 7일 오후 5시께 귀국했으며, 입국 후 발열과 가래 등의 증상을 보였다.

질병관리본부 긴급 브리핑에 따르면 A씨는 쿠웨이트 방문 당시 설사증상으로 8월 28일 현지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은 바 있으며, 귀국 중에도 설사 증상 등이 나타나 공항에서 곧장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했다.

부인과 함께 리무진형 택시를 타고 이동한 A씨는 이날 오후 7시 22분께 삼성서울병원에 도착했다. 이 택시 기사 역시 밀접접촉자로 분류돼 관리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A씨를 응급실에 있는 선별격리실로 바로 안내한 후 격리했다. 진료 결과 발열과 가래 및 폐렴 증상이 확인돼 오후 9시 34분께 보건당국에 신고했다.

보건당국에서는 메르스 의심환자로 판정, 8일 새벽 0시 33분께 국가지정격리병상인 서울대학교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해 검체를 체취한 후 이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해 메르스를 확인했다.

삼성서울병원 의사와 간호사 등은 A씨를 진료할 당시 보호구를 착용했으나 만일을 대비해 현재 자택 격리된 상태다.

질본에서 파악한 밀접접촉자는 검역관 1명, 출입국심사관 1명, 항공기 승무원 3명, 탑승객 10명, 삼성서울병원 등 의료진 4명, 가족 1명 등 총 20명이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접촉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이날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역학조사단이 A씨의 동선을 파악해 밀접접촉자와 일반 접촉자로 구분했다"며 "밀접 접촉자 20명은 자택격리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메르스 환자가 나온 것은 지난 2015년 5월 20일 메르스 환자가 처음 발생한 이후 3년여만이다. 같은 해 12월 23일 '종료'가 선언될 때까지 186명이 메르스에 감염되었으며, 이 중 38명이 사망했다.

조경건 부산닷컴 기자 pressjk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